불교

[스크랩] 운명을 바꾸는 방법/과오를 인정하라

운재 2010. 2. 4. 01:48

http://apple.chol.com/myapple/index.html?reqid=kim8655&article_num=219162

원서는 명대(明代)의 학자 원황(袁黃) 원료범(袁了凡.1533~1606) 선생이 
자식을 훈계하기 위해 남긴 '요범사훈(了凡四訓)' 이며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수백년 동안 개운서(改運書)로서 널리 알려진 명저이다.

 

제 1 교훈 운명을 세우는 공부 - 4

 

운명을 바꾸는 방법 : <과오를 인정하라>

운곡 선사는 내 남은 생애에 대한 공선생의 예언을 물어보았다.
나는 솔직하게 모든 것을 말씀드렸다.
그 분은 내가 관리가 되거나 아들을 가질만한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다.

 
내 과거 행적과 태도를 돌이켜 보고

나는 그럴 자격이 없다고 대답했다.
관리가 되는 사람들은 모두 복상 (福相)을 가졌으나 나는 그렇지 못했다.


또한 나는 덕을 쌓아 복을 이루는 일도 하지 않았다.
나는 성질이 급하고 도량도 좁고,

다른 사람들을 억누르면서 내 지능과 능력을 자랑하곤 했다.

 
나는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고 자제함이 없이 말했었다.
이 모든 것들이 박복(薄福)과 부덕(不德)의 증거였다.
어찌 내가 관리가 될 수 있을 것인가?

운곡 선사는 이 의문에 관하여 직접 대답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요범 선생에게 질문을 던져 그가 스스로

자신을 돌이켜보아 과오와 괴로움의 원인을 찾고,
자기가 관리가 될 수 있는지,

자식을 가질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해 보도록 가르쳤다.


물론, 운곡 선사와 요범 선생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는

이 두 의문에 국한된 것이 아니었으나,
요범 선생에게는 이 두 의문이 가장 중요했다.
나머지 일들에 대하여는 말할 필요가 없었다.
요범 선생은 운곡 선사가 물은 것을 오래 동안 생각했다.


그리고 솔직하게 아니라고 대답했다.
그가 관리가 되거나,  자식도 가질 자격이 없다고.

지인 유 ( Xiyin You )선생은 요범 사훈에 관한

그의 주석서(註釋書)에서 요범 선생의 정직함에 대하여
“ 정직이야 말로 공덕을 이루는 초석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감추거나

얼버무리고 실수를 덮어버린다면,
어떻게 그의 미래가 밝아질 수 있겠는가? ” 라고 말했다.
우리가 정직하여 자비로운 선생들을 만나면,
그들이 우리를 좋은 길로 인도한다.
만일 우리가 정직하지 않고 교만하면,

그들은 웃을 뿐 우리에게 진지하게 가르쳐 주지 않는다.

요범 선생은 그의 과오를 깊이 뉘우쳤고,

바로 이 점이 그의 운명을 바꾸는 열쇠가 되었다.
그는 운곡 선사에게
그에게는 관리가 될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복상(福相)이 없으므로 관리가 될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서민들은 복이 없는 관리의 지배를 받으면 고통을 당하나,

복이 있는 관리를 만나면 이익을 얻는다.


고대 사회제도를 조사해 보면,
우리는 공부를 하여 합리적인 사람들은 다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떤 황제들은 매우 현명했음을 알 수 있다.
예로서 당태종(唐太宗)은 매우 박식하고 도량이 커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물었다.

“ 황제가 되는 게 뭐가 그리 좋은가? 무거운 책임을 안게 된다.
만일 당신이 원하면 내 자리를 차지하라.
” 황제로서 그는 다른 사람들을 위압하기 위하여

그의 지위를 즐기거나 이용하지 않고,
오직 백성들이 행복할 수 있도록 봉사하였다.
또한 백성들에게 더욱 잘 봉사하기 위하여,
그는 유능한 사람들을 찾아 제국(帝國)을 위하여 일 하도록 하였다.

모든 선량한 관리들은 복상을 지녔다.
이 당시 요범 선생은 박복(薄福)하여

복덕을 쌓을 수 없었거나 그럴 생각도 없었다.
따라서 그는 관리가 될 상이 없었고,

백성을 지도하거나 봉사하기에 부적당 하였다.


다음에,
요범 선생은 그에게 매우 성미 급하고, 도량이 좁고,
무절제한 3가지 중대한 과오가 있음을 이야기 했다.
성미 급하고 심술궂으면 박복의 상을 받는다.
마음이 좁으면 다른 사람들을 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나쁜 성질들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잘 관리할 수도,
이끌 수도 없게 되거나, 공정하게 봉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그는 그가 방종했고

자신의 지능을 과시하기를 좋아했음을 솔직히 시인했다.
그는 자기가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다 했다.
이것 또한 타인들이 쉽게 참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는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말을 했고,
다른 사람들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았다.
이러한 모든 결점들이 행운보다 불행을 가져왔다.

진실로 행운을 가진 사람은 친절하고, 정직하고, 관대하다.
그들의 말과 행동은 조용하고 권위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권위가 없으면 다른 사람들을 고무시킬 수 없다.
” 오직 권위가 있고 존경을 받을 수 있을 때,
우리들은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교섭할 수 있다.
요범 선생은 그가 젊었을 때, 침착하지도 않고 품위도 없었음을 인정하였고,
바로 이점이 그의 불운(不運)의 한 이유가 되고 따라서 관리가 될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옛말에 ” 땅이 더러워야 생물이 많고 물이 맑으면 물고기가 적다 “고 했습니다.
제가 자식을 가질 자격이 없다고 느끼는

첫째 이유는 결벽증(潔癖症)입니다.
둘째 이유는 온화함이 생명을 양육하는데, 저는 화를 잘 냅니다.
셋째로, 자애(慈愛)가 다산(多産)의 원인이 되고 사나움이 불모 (不毛)의 원인이 되는데,
저는 저의 명예에 이기적으로 집착하고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어떤 것도 희생하지 않습니다.

넷째 이유는 제가 너무 말을 많이 하여 정력을 지나치게 소모합니다.
다섯째로, 저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십니다.
여섯째로, 저는 가끔 밤을 새우는 일이 있어 정력을 소모하여 자식을 갖지 못 했습니다.
이 외에도, 저에게는 다 말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결점이 있습니다.

물고기들은 대체로 맑은 물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왜냐? 물고기들이 보이면 쉽게 붙잡힐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 말은 또한 더러움 없이는 아무 것도 자랄 수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요범 선생은 불결한 것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청결하고 깔끔함은 좋은 성품이다. 그러나 지나치면 강박증(强迫症)으로 된다.

 
조그만 더러움도 용납하지 않는 것은 좋은 것이 아니다.
이점이 그가 자식을 가질 자격이 없는 이유의 하나이다.
온화함은 가정이 번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친절함은 건강에 이롭다. 요범 선생의 나쁜 기질은 그가 부자가 못되어
그의 가정이 경제적으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하게 된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조금만 비위가 상해도

화를 내고 불쾌한 것을 전혀 참지 못 했다.
이렇게 처신해서 그는 불행해졌고

이점이 그가 자식을 가질 자격이 없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자애(慈愛)는 남을 보살피는 마음이다.
요범 선생은 이 원리를 알았으나, 이에 따라 처신할 수 없었다.

왜냐? 그는 매우 불친절한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의 명예를 과대평가하고 남을 도우려고 하지 않았다.
이 점이 그가 자식을 가질 자격이 없는 또 하나의 원인이다.
또한 그는 너무 말을 많이 하여 정력을 많이 소모하였다.


요범 선생은 그가 자식을 갖지 못한 여섯 가지 이유를 들었다.
처음 세 가지 이유들은 결벽증, 화를 잘 내는 것,
그리고 자애심이 없는 것 들이다.
이것들은 모두 의도(意圖) 또는 마음에서 유래된 것들이다.

다음 세 가지 이유들은 말을 너무 많이 하고,
술을 마시고, 밤잠을 자지 않는 것 들이다.
이 것들은 행위 또는 몸에 관계된 것 들이다.
그는 말하고 남을 비판하기를 좋아하였다.
그는 남의 실수를 입방아 찧고 남과 잘 다투었다.
이것들은 몸을 해치고 정력을 고갈시킨다.
그는 또한 과음하기를 즐겼고,
이 것은 마음을 해치고 정신을 피로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그는 친구들과 밤새우며 이야기하고, 마시고, 즐기며
그의 건강을 돌보는 것에 신경 쓰지 않아 자식을 가질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그가 너무 많은 나쁜 습관과 결점을 가진 것을 알아차리고
요범 선생은 그의 모든 잘못된 행동을 솔직히 인정하고 후회하였다.
자기의 모든 과오를 숨김없이 인정하는 것이 후회하는 것이고 업장을 지우는 것이다.


이 일은 진실하게 해야 효과가 있다.
깨달음은 우리가 우리의 과오를 알아낼 수 있을 때 이루어진다.
수행은 우리가 우리의 과오를 알아차리고 이들을 교정했을 때 성취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실수를 모르고 있기 때문에 진실로 수행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첫 단계는 우리의 나쁜 습성을 알아내는 것이다.
요범 선생은 매우 뛰어난 사람으로 운곡 선사가 한번 묻자,
주의 깊게 반성하고 그의 모든 결점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리하여 그 때부터 그의 운명을 바꿀 수 있었던 것이다.

어떻게 그는 이 일을 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우리는 왜 그렇게 할 수 없을까?
우리의 나쁜 습관을 전혀 모르고는 물론 우리는 그것을 고칠 수 없다.
요범 선생은 반성하여 찾아내고 그의 모든 부적절한 행동을 교정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그는 구하는 것을 얻었다.
안으로는 덕스럽고 친절한 행동을 그리고 밖으로는 부와 자식을 얻었다.

 
그는 밖으로부터 찾지 않았다.
우리는 그가 대자비 보살 앞에 자식, 명예,

그리고 부를 구하기 위해 절하고 향을 사르는 것을 보지 못 했다.

 
그러나 오늘 날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단지 맹목적인 예배의 형식을 통하여 구한다.
그들은 원리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원하는 것을 찾지만,
단지 형식만을 취하는 것은 올바른 길이 아니어 실패하고 만다.

밤낮으로 우리는 수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운명에 의하여
이미 받도록 확정된 부와 자식을 얻으려고

절에 가서 촛불을 키고 향을 사름을 보게 된다.
무지하여 그들은 그들이 얻은 것은

하늘의 은총에 의하여 허락된 것이라 생각한다.
수행자들은 진실을 이해하고 가르침에 따라 구해야 한다.

 
운곡 선사가 말했듯이 안과 밖에서 얻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얻을 수 있다.

 

♩..心想曲 이뭐꼬(What is the Ego)

 

 

출처 : 선지봉 정사(宣智棒 精舍)
글쓴이 : 선지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