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강 사주감명의 핵심 제12강 사주감명의 핵심 사주감명에 있어서 주요한 핵심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주를 분석함에 있어서 우리 인간의 삶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봅니다. 직장인 사주와 상업인 사주 두가지입니다. 직장인 사주는 관성이나 인성을 사용하며 상업인 사주는 식상이나 재성을 사용하는 사..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11강 사주팔자 해석순서 제11강 사주팔자 해석순서 1. 개요 사주팔자를 해석 할려면 상대방이 무엇을 궁금해 하는지를 알아서 그 목적에 맞는 해석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여자의 경우 사주분석 순서는 남편운 > 자식운 > 금전운 의 순서이고 남자의 사주분석 순서는 금전운 > 배우자운 > 직업운 > 자식..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10강 명리학의 기본원리 제10강 명리학의 기본원리 1. 개요 불기2559년 부처님 오신날입니다. 불교의 깨달음은 머리로는 안 되고 체득이 필요하듯이 명리도 그러한가 봅니다. 수천년 전 명리를 만든 사람이 무엇을 보고, 무엇을 체득하여 운명을 관찰하는 방법을 만들었을까? ‘명리학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와 원리..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9강 12신살론 (神殺論) 제9강 12신살론 (神殺論) 1. 12신살 1) 12신살의 의미 12신살은 12지살 이라고도 하며, 지지(地支)와 지지(地支)의 관계 변화에서 일어나는 동작이나 행위를 모양으로 드러낸 것이 12신살 입니다. 지지의 관계 변화는 현실적으로 발생되는 일이므로 내 뜻이나 생각과는 관계없이 발생하는 일들..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8강 격국용신론 (格局用神論) 제8강 격국용신론 (格局用神論) 1. 격국용신론 1)격국의 순용(順用)과 역용(逆用) 격국은 일간이 월지에 대입하고 육친을 구분하여 격국을 정합니다. 사길신: 재성, 정관, 인수, 식신 사흉신: 편관, 상관, 편인, 겁재 길신은 재성이 식신의 도움을 받는 것처럼 순용하고, 흉신은 편관을 식신..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7강 12운성으로 해석하는 방법 제7강 12운성으로 해석하는 방법 1. 관계 변화 천간대 천간의 관계 변화-- 천간합, 천간충, 등 천간대 지지의 관계 변화-- 12운성, 12신살, 공망, 등 지지대 지지의 관계 변화-- 육합, 삼합, 방합, 지지충, 형, 파, 해, 등 12운성은 ‘천간대 지지의 관계 변화’이며 대상 천간이 처한 환경과 기운 ..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9
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1. 지장간 현재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지장간은 월령용사입니다. 지장간과 월령용사 두가지가 있었는데, 한문으로 된 고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번역을 해서 지금껏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알고 사용을 한 것입니다. 이것을 바로 ..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8
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1. 육친의 상생 상극에 빠지지 마라.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논리를 ‘22간지의 관계‘ 즉, 간지론에서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 하였습니다. 육친의 상생 상극도 22간지의 관계에서는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재성이 관성을 생한다는 육친..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8
제4강.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제4강.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앞 제3강에서 공부한 근묘화실로 분석하는 방법보다 더 세밀하게 적용하여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이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입니다. 육친이 년, 월, 일, 시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육친의 작용력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유심히 관찰하여 사주..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8
제3강 근묘화실 (根苗花實)로 분석 제3강 근묘화실 (根苗花實)로 분석 1. 사주팔자 보는 방법 時 日 月 年 천간 지지 1) 근묘화실로 보는 방법 구분 근묘화실 두견신족 조부본자 비고 年 근(根) 두(頭) 조(祖) 소년기 月 묘(苗) 견(肩) 부(父) 청년기 日 화(花) 신(身) 본(本) 장년기 時 실(實) 족(足) 자(子) 노년기 * 時에 역마가 있.. 사주 명리 강의 (중급) 2016.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