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강.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앞 제3강에서 공부한 근묘화실로 분석하는 방법보다 더 세밀하게 적용하여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이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입니다.
육친이 년, 월, 일, 시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육친의 작용력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유심히 관찰하여 사주를 분석하여야 하며, 있어야 할 자리에 있을 육친이 있는지 아니면 반대되는 육친이 자리 함으로 인해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지를 판별하여 바로 분석이 가능한 최고의 감명법이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입니다.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을 바탕으로 배치가 잘 되지 못한 육친을 판별하여 바로 해석을 하면 됩니다. 아무리 좋은 육친이라도 있을 자리에 있지 않고 엉뚱한 자리에 있다면 결코 좋은 작용을 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부분은 ‘육친이 있어야 할 자리와 반대되는 육친이 자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 남자사주의 일지(日地)는 배우자 자리라 정재이 있어야 마땅한데 일지에 정재를 극하는 겁재가 있다면, 그 남자의 배우자 운은 당연히 좋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 여자사주의 일지는 남편인 배우자 자리라서 정관이 위치하면 좋겠지만 상관(傷官)이 위치하면 정관을 극하므로 ‘배우자 운이 좋지 못하다’고 감명하는 것입니다.
* 월지는 부모 자리인데 부친인 편재가 있으면 좋을 자리에 이를 극하는 비견이 있으면 ‘부친과의 인연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근묘화실과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을 잘 활용하면 사주팔자를 적으면서 바로 해석이 가능한 아주 좋은 감명법입니다.
‘위치에 따른 육친 변용법’을 쉽게 사용하기 위하여 육친별 경우의 수 대로 모두 해석하여 정리해 드립니다.
1. 비견
년 - 성장성 발달, 친구를 좋아함.
월 - 금전분배, 형제가 많다.
일 - 남자는 배우자와의 인연이 약하다. 여자는 시모와 인연이 약하다.
시 - 타인과의 금전 거래에서 손해
2. 겁재
년 - 경쟁이나 투쟁심이 강하다.
월 - 부모와 불화, 상속의 분배, 재물 손해
일 - 남자는 처의 건강불안, 여자는 후처가 된다.
시 - 자녀로 인한 손재가 발생
3. 식신
년 - 조부의 부귀, 의식주가 풍부하다.
월 - 유산 상속 혜택, 재능의 발달, 몸이 크고 음식을 즐긴다.
일 - 재물 생산 능력, 배우자와 유정
시 - 말년의 장수, 자녀의 출세
4. 상관
년 - 조상 인연 박함, 풍류성이 강함
월 - 천재성, 부모와 불화
일 - 남자는 자녀와 인연이 약하다, 여자는 남편의 덕을 입기 어렵다.
시 - 남자는 무자식, 여자는 말년의 외로움
5. 편재
년 - 큰 재물을 지닌 조상, 학업 중단
월 - 장사 수단, 유산 분배
일 - 남자는 사업성 강한 배우자, 여자는 시부모와 함께 산다.
시 - 남자는 대문 밖의 여자 문제, 여자는 시부모와 함께 산다.
6. 정재
년 - 금전 인연 조상, 검소, 착실, 상속
월 - 유산상속 인자, 혁명성 부족
일 - 금전 혜택, 원만한 배우자
시 - 남자는 결혼이 늦고, 여자는 시부모나 친정의 상속
7. 편관
년 - 조상의 영달, 여자는 애인
월 - 사립학교, 기술성, 권력을 꿈꾼다.
일 - 남자는 처의 잔소리, 여자는 남편이 폭력적이다.
시 - 남자는 봉사단체 벼슬이나 감투, 여자는 직장이나 애인
8. 정관
년 - 남자는 명예높은 가문, 여자는 시집을 빨리 간다.
월 - 남자는 가권의 상속, 여자는 현모양처가 된다.
일 - 남자는 직장 인연, 여자는 남편 덕이 좋다.
시 - 남자는 말년의 벼슬, 여자는 결혼이 늦다.
9. 편인
년 - 조상 인연 박함, 성장성 부족
월 - 부모 덕 부족, 이공계 학문
일 - 남자는 자기 중심적이다, 여자는 자녀와의 이별
시 - 활동성 약화, 임대 사업, 문서
10. 인수
년 - 학문성 간화, 인내심
월 - 글과 학문, 자부심, 자격, 상속
일 - 남자는 마마보이, 여자는 자녀와의 이별
시 - 의존성, 특수 재능, 자부심
다음은 육친의 해석및 변용법에 대해 공부 하겠습니다. - 운재 -
'사주 명리 강의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0) | 2016.01.18 |
---|---|
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0) | 2016.01.18 |
제3강 근묘화실 (根苗花實)로 분석 (0) | 2016.01.18 |
제2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0) | 2016.01.18 |
제1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