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강 사주감명의 핵심
사주감명에 있어서 주요한 핵심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먼저 사주를 분석함에 있어서 우리 인간의 삶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봅니다. 직장인 사주와 상업인 사주 두가지입니다.
직장인 사주는 관성이나 인성을 사용하며 상업인 사주는 식상이나 재성을 사용하는 사주가 되겠습니다.
1. 직장인 사주
직장인 사주의 분석
1) 육친으로 관성과 인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2) 육친이 정관인지 편관인가를 살피고 천간에 있는지 지지에 있는가도 참고해야 합니다. 천간에 정관이 있고 지지에 뿌리가 있다면 공무원이나 대기업 인연이 많습니다
3) 일시(日時)에 있으면 늦게 사용을 하게 되니 년월(年月)에 있는것이 좋습니다.
4) 편관이 천간에 있고 지지에 뿌리가 있다면 주로 이공계나 경찰 군인처럼 힘든 직업일 경우가 많습니다.
5) 관성이 지지에 있고 천간에 없다면 일단 격은 천간에 있는 것보다 떨어집니다. 지방 공무원이나 일반회사에 근무하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6) 관성과 함께 살펴보아야 할 중요한 짝이 인성입니다. 관성은 멋진데 인성이 없으면 임원이나 교수 등 책임자가 되기 힘듭니다. 그러나 대운에서 인성 운이 30년간 온다면 문제가 다릅니다. 관성과 인성은 짝입니다.
7) 취업이나 시험에 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관성 운이나 인성 운이 좋습니다. 인성이 강하고 관성이 약하게 있는데 관성 운이 온다면 승진이나 취업이 가능합니다.
8) 본인과 잘 맞는 직장을 육친, 오행으로 분류해서 판단하고 다시 22간지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서 구분하여야 합니다.
9) 만약 관성이 목(木)이라면 대부분 직장이 목과 관련된 교육이나 학원, 건축, 디자인 등의 직업이 좋다고 오행으로 글자의 특징으로 분류하여 설명합니다. 거기에 더 가까이 접근을 한다면 木이 ‘ㄱ, ㅋ’ 발음이므로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박물관 등 목의 발음이 있는 직장을 선택하면 인연이 깊다고 감명하는 것입니다.
10) 대학 진학도 마찬가지입니다. 정관은 국립, 편관은 사립대학 관성이 천간에 있으면 서울지역이나 중심지역, 지지에 있으면 지방대학 등으로 분류합니다. 관성이 토(土)이 경우 인하대, 인천대, 이화여대, 연세대 홍익대 등 ‘ㅇ. ㅎ’과 관련된 대학과 인연이 깊다고 감명하면 적중률이 높고 만족스런 상담이 될 것입니다.
2. 상업인 사주
상업인 사주를 볼 때는 3가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첫째, 사주원국을 살펴서 그 사람에게 가장 잘 맞는 업종을 찾아야 합니다.
둘째, 대운이나 세운이 장사를 하기에 적합한 때 인가를 살펴야 합니다.
셋째, 가계의 출입문이 본인과 맞아야 합니다.
이렇게 업종, 운세, 방위가 삼위일체가 되어야만 성공할 수가 있습니다.
1) 세 가지 문제를 모아서 보기에 각각 33%의 영향력이 있다고 봅니다.
2) 업종 - 업종을 정할 때는 재성을 주로 사용하는지 식상을 위주로 사용을 하는지 아니면 두 가지 같이 사용을 하는지 식상과 재성이 합, 충, 형을 하는지 가까이 있는지 떨어져 있는지 모든 것을 살핀 연후에 결정을 해야 합니다.
가. 제조, 생산업
*제조 생산은 거창한 공장도 되겠지만 흔히 밥장사나 술장사도 제조업입니다.
*식신과 재성이 합하는 경우가 밥장사 사주입니다.
*상관과 재성이 합하거나 가까이 있으면 술장사 혹은 기호식품 장사입니다.
*식상과 재성이 떨어져 있으면 만든 곳과 파는 곳이 떨어져 있어야 좋습니다.
*식상이 없고 재성만 있으면 유통업을 하면 됩니다.
*식상 재성이 없고 인성만 있는 경우 임대사업을 하면 됩니다. 주로 노래방, 여관, 찜질방, 주차장, 당구장, 카페 등이 임대사업에 해당 됩니다.
*식상이나 재성이 충을 당한 경우는 충을 당한 형태인 역마성으로 해석을 하면 됩니다. 이동을 하면서 장사를 하는 것입니다.
나. 대운
*아무리 강한 식상을 원국에 가지고 있는 사주라도 대운이 인성 운으로 흐른다면 식상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대운이 받쳐줘야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대운이 사업을 하기에 좋으면 아무리 세운이 안 좋아도 망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다. 업소 출입문 방위
*만약에 사업자가 쥐띠라면 그 사람의 가계 출입문이 항상 동쪽이 필수적으로 열려 있어야 하고, 쪽문은 남쪽에 있으면 좋습니다.
*이 원리는 쥐띠는 삼합으로 申, 子, 辰 수국(水局)에 속합니다. 그 그룹보다 한 글자씩 앞에 존재하는 삼합은 亥, 卯, 未 목국(木局)입니다. 申 바로 앞에 未, 子 바로 앞에 亥, 辰 바로 앞에 卯가 있습니다. 이렇게 앞 선 그룹을 조상 그룹으로 보고 (장사에서 손님을 전생의 조상으로 봅니다.) 조상과 통하는 방위가 열려야만 손님이 많이 온다는 원리로 매우 중요하니 필히 참고 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상업사주는 업종, 대운, 방위를 보아야 합니다.
여기까지 사주감명의 기법을 끝으로
중급반 12강, 사주보는 방법들을 공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주 명리 강의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강 사주팔자 해석순서 (0) | 2016.01.19 |
---|---|
제10강 명리학의 기본원리 (0) | 2016.01.19 |
제9강 12신살론 (神殺論) (0) | 2016.01.19 |
제8강 격국용신론 (格局用神論) (0) | 2016.01.19 |
제7강 12운성으로 해석하는 방법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