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스크랩] 짧은 글 깊은의미[4]

운재 2010. 2. 4. 01:24

짧은 글 깊은의미[4]

 

신왕윤토(身旺潤土) 예로; 丙丁日主가 하절생(夏節生) 이면 신왕인데 수기(水氣)가 있으면 윤토(潤土)가 된다.
병중약경(病重藥輕)병중약중(病重藥重) 例 ; 水일주에 土가 태왕하고 木이弱하면 病은 重한데 藥은 가볍다.
또는 土旺으로 病이 되는데 强木이 있고 木旺運을 만나면 重病中 藥神을 만나니 크게 發展한다
火明木秀 (화명목수);春節에 木이 왕성한데 火가 木을 通氣(통기)시키면 木火通明으로 火는 木을 빛나게하니
이것은 泄氣보다도 秀氣가된다 이때 水가 있으면 破格이다.


子午卯酉(자오묘유) 四敗之神(사패지신) : 子午卯酉는 각 계절상에 四旺地로서 도화살, 장성에 해당한다.

辰戌丑未(진술축미) 四庫四墓(사고사묘) : 辰戌丑未는 四庫, 四墓에 해당한다.
大病得藥(대병득약) 大富大貴(대부대귀) : 사주상 大病이 運에서 藥을 得하면 대 발전을 한다.
合待沖起(합대충기) 沖待合成(충대합성) : 合은 沖에서 運이 일어나고 沖은 合에서 일을 이룬다


格局旣定(격국기정) 用神可變(용신가변) : 격국은 月支에서 定해지고 용신은 사주의 강약, 조후에 따라 변한다.

强者宜制(강자의제) 弱者宜補(약자의보) : 강한 오행신은 制한는 것이 좋고 약한 오행신은 補하는 것이 좋다.
淸命論貴(청명논귀) 濁命論富(탁명논부) : 淸한 사주는 貴(인품)을 論하고, 濁한 사주는 富(재물)을 論한다.
眞神得用(진신득용) 大富大貴(대부대귀) : 眞格이 되어 用神을 旺하면 대부대귀한다.


假神用事(가신용사) 碌碌浮生(녹록부생) : 破格이 되고 用神도 不用이면 평범하고 하잘곳 없는 인생으로 떠 돌아 다닌다

吉神太露(길신태로) 起爭之風(기쟁지풍) : 吉神이 過多로 들어나 있으면 鬪爭이 있어 난다.
凶神深藏(흉신심장) 食虎之患(식호지환) : 凶神이 深藏되어 있음은 食人虎(범)이 숨어 있는 것 같은 憂患이 있다
夫妻因緣(부처인연) 宿世之來(숙세지래) : 남편과 아내의 인연은 숙세의 인연에서 온 것이다.


父子因緣(부자인연) 此緣宿世(차연숙세) : 부자의 인연은 후생 인연에서 숙세까지 이어 갈 것이다.

源淸流濁(원청유탁) 先榮後敗(선영후패) : 사주는 淸하나 行運이 濁하면, 처음은 榮華스러우나 나중에는 敗亡한다.
源濁流淸(원탁유청) 先困後榮(선곤후탁) : 사주는 濁하나 行運이 淸하면, 처음은 困難하더라도 나중에는 榮華스럽다.
德勝財者(덕승재자) 君子之風(군자지풍) : 德(印星)으로 財物(財星)을 이기면 君子의 風을 이룬다..
財勝德者(재승덕자) 多能之象(다능지상) : 財物(財星)으로 德(印星)을 壓倒하면 多才多能한 者이다. 

출처 : 선지봉 정사(宣智棒 精舍)
글쓴이 : 선지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