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스크랩] 짧은 글 깊은의미[7]

운재 2010. 2. 4. 01:22

짧은 글 깊은의미[7]

 

背祿逐馬하니 財名이 落照인데 因妻由財에 其禍가 非輕이라.

(배록축마하니 재명이 낙조인데 인처유재에 기화가 비경이라.)
관귀를 등지고 재마를 쫓으니 재성이 석양에 지는데 처와 재물로 말미암은 기이한 화가 가볍지 않다.

부인이 바람을 피워 사라지기도 한다..
破了傷官하니 壽元이 損傷이나 眞之傷官에는 破了大榮이라
(파료상관하니 수원이 손상이나 진지상관에는 파료대영이라.):상관을 파료시키니 목숨이 손상되나
진상관에는 파료가 되면 크게 영화롭다. 신약에 진상관운이 오면 상관을 상진시켜 신을 보하므로 대성하게 된다.


天地德合하니 人心이 歸我라 不戰而勝으로 張相公候로다...
天地德合이란 천간합과 지지합을 말하는데 싸우지않음으로 사람 마음이 돌아온다는 말이다.

食神生財(식신생재)는 月令(월령)이 食神 이고 사주에 財星(재성)이 있으면
食神 (식신)의 氣가 유통 되는 것으로 이때 比劫(비겁)이 있으면 相神상신)을 剋해 안좋다.
木火傷官喜見水(목화상관희견수)나 金水傷官喜見水(금수상관희견수)도 조후을 고려한 말들이다 .
木 의 從兒格(종아격)은 眞從(진종)릏 이루어도 木焚火熱(목분화열)의 凶意(흉의)가 있어 貴命(귀명)과는 관계가 없다.


氣勢(기세)가 편중되면 잔병이 많거나 요절이 따르는 팔자가 된다.

仁格 에 七殺을 쓰는 印用七殺 사주는 貴格이다 그런데 身强하고 印星이 旺하데 七殺이 투출하면 孤賓하다.
日干이 강하면 인성의 도움이 필요치않고 印綬가 왕하면 칠살의 도움이 필요치 않다 이럴때는 한쪽으로 치우처 無情 하다.
日時의 刑沖이 月日의 刑沖을 해소한다 刑은 相生이나 同氣에 의해 성립되지만 沖은 相剋의 논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相生의 힘이 강렬하면 相剋하는 힘을 無力化 시킬수 있다.


 沖이 刑을 해소하거나 刑이 沖을 해소 하거나 刑을 형이 해소 한다고 확장해서는 안된다.

삼명통회(三命通會)의 간명구결(看命口訣)에 보면 격국(格局)에서 생사(生死)를 논하는데 참고하기 바란다.
사주가 인성격(印星格)인데 사주에 재성(財星)을 보아 재파인(財破印)이 되어 파격(破格)이 되었는데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에 일간이 사절(死絶)되면 필사(必死)한다.


干與支同(간여지동) 損財傷妻(손재상처) ː 사주상 日柱의 干과 支가 같으면 損財 傷妻(夫婦不和)한다
一見財官(일견재관) 自然成福(자연성복) ː 사주상 財와 官이 混雜되지 않고 一位만 있으면 자연히 福을 이룬다

인수격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갑을목, 병정화, 임계수 등은 장생 인수격, 목욕 인수격이 되고,
경신금은 진술축미 잡기가 인수인데 십이운성으로는 4가지나 된다.
그리고, 무기토는 건록 양인이 인수가 된다. (여기서 십이운성은 양간 음간 모두 양간에 준해서 표출한 것이다.)
이들 인수격은 십이운성에 따라서 인수격의 성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장생인수격과 목욕인수격은 비슷하기는 하지만 좀 다르다.
십이운성상의 쇠왕의 차이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
정인 편인이라는 차이에 의해서도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단 쇠왕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을까... 라 생각된다

 

五行개음(오행개음) 癸爲至上(계위지상) ː 乙丁己辛癸 다섯 陰五行 중 계가 陰으로서 으뜸이다.
痴聾痼啞 家豪富(치롱고아 가호부) 智慧聰明 却受貧(지혜총명 각수빈)
年月日時該載定(년월일시해재정) 算來由命不由人(산래유명불유인)~
어리석고 귀먹고 고질병이 있어도 집은 호화롭고 부자이기도 하고 지혜롭고 총명하여도 도리어 가난하기도 하다.
해와 달과 날과 시. 곧 사주팔자는 모두 처음부터 정해져 있으니

따지고 보면 부귀는 천명에 말미암이지 사람에 말미암지 않더라

 

筆禿千管, 墨磨萬錠[ 필독천관, 묵마만정 ] 붓 천 자루가 닳아 소모되고, 먹 일만 자루를 갈아 없애다.
藝術 서예가 그렇듯이, 꾸준한 연습은 높은 경지에 이르는 결정적 요소이고 믿음직한 인도자다.
五行皆陽(오행개양) 丙爲最上(병위최상) ː 甲丙戊庚壬 다섯 陽五行 중 丙이 陽으로서 제일 강한 성질을 가진다.
陰陽之法(음양지법) 洛書基源(락서기원) ː 만물이 陰陽五行의 理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원은 하도낙서(河圖洛書)이다.

五行偏全(오행편전) 定而禍福(정이화복) ː 사주상 五行이 두루 갖추어져 있느냐,

                                                               五行이 偏重되어 있느냐가  그 사주의 禍福을 결정한다.


官星이 강할 때는 사념을 버리고 바보 철학을, 財星이 강할때는 무욕과 비움의 철학을,
比劫이 강할때는 배려의 철학을, 食傷이 강할때는 느림의 철학을, 印星이 강할때는 경청의 철학을 배워야 ...
고서에 이르기를 三刑逢沖必有災(삼형봉충필유재:삼형에 충을 만나니 반드시 재앙이 있다.)라 했다.
三刑對衝橫禍生(삼형대충횡화생:삼형과 충이 짝이 되면 횡화가 나타난다)라 했고, (반드시 재앙이 있다.)라 했다.

출처 : 선지봉 정사(宣智棒 精舍)
글쓴이 : 선지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