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강 상담의 기술
1. 명리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일반인들은 무속인과 역술인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속인은 무속에 관련된 일이나 업무를 하고 나름 어떤 역할이 존재할 것이며
역술인은 명리학을 공부하여 학문적으로 운명을 풀이하고 앞으로 다가올 길흉을 미리 알려주는 역할을 하여야 합니다.
역술인의 말 한마디에 상담자들은 절대적인 것으로 착각을 하거나 오랫동안 마음에 부담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렇듯 역술인의 말 한마디가 명리를 공부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대우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러 방면에 책임 있고 소신이 있는 언행이 필요한 것으로 봅니다.
2. 일반 상담자와 전문 상담자의 차이
1) 방문자의 입장에서 상담하라.
2) 일반 상담자 - 알아듣지도 못하는 식상 재성 등 전문 용어를 사용할 것이며
3) 전문 상담자 - ‘당신은 금전 복이 좋지 못하다.‘라고 설명을 할 것입니다.
3. 긍정과 부정의 차이
방문자의 대부분이 살기가 어렵고 일이 풀리지 않아서 궁여지책으로 방문을 할 경우 상담의 기준을 어디에 둘 것인가?
1) 파격의 원인과 사주의 급수를 솔직히 설명하고 당신의 사주는 형편이 없고 좋은 글자도 없으니 사회에 봉사하는 마음으로 욕심을 버리고 사는 것이 현명하다고 상담을 할 것이다.
2) 팔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할 글자가 없더라도 세월의 흐름에 맞춰서 열심히 살 수 있도록 희망을 주는 상담을 할 것이다.
행복과 불행은 한 생각 안에 존재한다는 생각이며, 아무리 험한 사주라도 한 사람의 소중한 삶의 설계도이고 분명히 거기에 맞는 일이나 행복이 있게 마련입니다.
방문자가 사주에 있는대로 말해 달라해서 상담자가 1)번처럼 여과 없이 말을 해준다면 다시는 그 사람을 볼 수 없으며, 소개는 커녕 비난의 소리만 듣게 될 것이며
2)번처럼 사주팔자의 좋고 나쁨의 급수 보다는 다만 방문자의 앞날에 상담자의 희망 섞인 말 한마디만이 필요한 것입니다.
4. 방문자가 원하는 것
‘과연 방문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족집게처럼 대단한 실력만을 원하는 것일까? 아니면 본인에게 거짓 없이 진실만을 원하는 것일까? ‘방문자가 그토록 절실히 원하는 말은 무엇일까?를 생각해 보고 상담에 임해야 합니다.
방문자들이 가장 듣고 싶은 말은 ‘앞으로 잘 풀리겠다.’ 말 한마디입니다.
이 말을 하는데 상담자들은 그렇게도 인색 합니다.
왜냐하면 앞으로 일이 잘 풀릴 수가 없는 사주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단 방문자가 원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상담을 이끌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거기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마무리해야 합니다. 이것이 고객 만족 경영이고 한 줄기 희망을 심어 주는 명쾌한 결과입니다.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5. 맞히는 것과 상담의 차이
모든 술사들의 목표가 족집게 도사처럼 잘 맞추는 식의 감명을 지향하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상담은 그런 것이 아니고 방문자의 사주 구조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운이 상승기인가 하락기인가를 살펴서 길 안내를 해 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말 잘하는 사람은 상대방의 말을 가장 잘 들어주는 사람이라는 명언이 있듯이 들어 준다는 그것만으로도 방문자는 많은 위안을 받고 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아픔을 이해해 주고 위로해 주는 말 한마디를 절실히 요구하는 사회에서, 우리 전문 상담사들의 역할도 이제는 변화의 요구에 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6. 상담자의 자세
1) 상담자는 항상 본인의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여아 합니다.
2) 방문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상처받을 만한 말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3) 긍정적인 생각으로 방문자에게 희망과 꿈을 잃지 않도록 조언을 해 주며 격려 또한 잊지 말아야 합니다.
4) 찾아 주심에 감사하며, 나의 배려와 호의에 감동하여 돌아가도록 하여야 합니다.
5) 방문자가 사실 그대로 말해 달라고 해도 융통성 있는 상담으로 자주 만나는 사이가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6) 금전에 눈이 멀어서 당장의 이익을 쫒는다면 결국 망하는 지름길 임을 알아야 합니다.
7) 학문 실력 향상은 기본이고 상담 기법을 배우고 익혀서 많은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을 나누어 주는 상담자가 되어야 합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은 음양오행 건강법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사주 명리 강의 (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강 음양오행 건강법 (0) | 2016.01.19 |
---|---|
제10강 공망의 연구 및 사주분석 (0) | 2016.01.19 |
제9강 궁합(宮合) 보는 법 (0) | 2016.01.19 |
제8강 쌍둥이 사주와 지리학 (0) | 2016.01.19 |
제7강 운명을 개선하는 방법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