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강 사주에 많은 글자의 해석
사주에 많은 오행이나 육친의 기준은
천간은 3개 이상, 지지는 2개 이상 있음을 말합니다.
사주에 많은 글자는 팔자를 구성하는 오행이나 육친 중에 힘있고 강한 글자라는 의미로 팔자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특기이자 적성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입니다.
사주 감명의 첫걸음은 없는 글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논리와 행위의 취약점을 알아내고, 그 다음 많은 글자로 인한 문제 해결 방식을 알아내는 방법에 있습니다.
1. 오행 중에 많은 글자의 해석
많은 오행 |
오행적 해석 |
木이 많다 |
봄의 기운, 솟아오르는 운동이 많다. 장수 인자, 융통성, 어질다, 기획, 긍정적, 화술, 발명, 정신력 등의 능력이 좋다. 火의 설기가 없으면 정신장애 발생 |
火가 많다 |
여름의 기운, 번져나가고 확산하려는 운동이 많다. 정치, 방송, 사업, 명랑, 성급, 세속적, 활동력이 좋다. 머리너 상체가 큼 |
土가 많다 |
증화의 기운, 확장의 기운을 수렴 운동으로 연결시켜 주는 운동이 많다. 부자의 인자, 타협, 중개, 토목, 농협, 중매, 잡기, 정착 능력이 좋다. 육친덕 부족(묘지의 작용), 잘 안 낳고 오래가는 병, 백수 |
金이 많다 |
가을의 기운, 건조하고 딱딱하여 아래로 떨어뜨리는 결실의 운동이 많다. 금융, 의리, 군인, 혁명성, 외무, 요식, 유흥성, 마무리, 섬세함이 좋다. 비 타협적이며 목과 머리가 약함 |
水가 많다 |
겨울의 기운, 저장하고 수렴하는 운동이 많다. 무역, 숙박, 유흥, 음란, 밤의논리, 외교, 우울증, 알코올 중독, 표류, 행상, 지혜, 융통성이 좋다. 주거 변동이 많다 |
2. 육친 중에 많은 글자의 해석
많은 육친 |
성향 |
육친적 해석 |
비견이 많다 |
부친 아내와의 인연이 박하다 |
도둑, 군인, 조폭, 승부욕, 고집 남-처자 인연 박함, 여-소실격 |
겁재가 많다 |
동업불리, 인덕이 없고 호색 |
배신, 약탈, 변질, 도박, 전투적 |
식신이 많다 |
관성을 극하여 남-관록,자녀인연적다. 능력과신,인심잃고 고독 |
다재다능, 실속부족, 소비 지출, 유흥 남-백수(관성을 극한다) |
상관이 많다 |
교만하고 포악하다, 사기와 실패 의심이 많다. |
제조, 생산, 놀이, 유흥, 무법자, 유산, 상속 여-남편 덕 부족 |
편재가 많다 |
병치레, 호색, 여자문제가 많고, 돈보고 남자를 만난다. |
학문성 약화, 투기꾼, 술꾼, 융통성, 연애능력, 부모덕부족, 처첩발생 |
정재가 많다 |
관성운을 만나면 설기시키는 기운으로 발전할 수 있다. |
처의 인연이 박하다. 다처(多妻)는 무처이다. |
편관이 많다 |
관직성공 못함 보좌역,공공단체 봉사직에 길하고 직책이 낮다. |
비굴, 잔인성, 행동 제약이 많다. 여-연애능력발달, 배우자 덕 부족 |
정관이 많다 |
여-남편덕부족,화류계,남자문제 많은데 평생 직장이면 해소. |
일이 많아 피곤하다. 직장변경이 많다. |
편인이 많다 |
인성이 식상을 극하여, 여-자녀문제가 발생 |
성장애로, 눈치빠름, 활동성부족 자격, 인허가, 글과 학문성 발달 |
인수가 많다 |
인성이 재성과 중화를 이루면 좋은 사주가 된다. |
배우자인연 늦음, 지나친 도덕성 자기중심적, 여-자녀 동거 불안 |
3. 있는 것과 같은 작용력 (없는 글자를 있는 것으로 본다)
1) 공협(供挾)
‘이바지핳 공’, ‘낄 협’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사주 명조에 子외 寅이 있으면, 그 사이에 공협으로 축(丑)이 있는 것으로 봅니다.
2) 도충(倒沖)
‘넘어질 도’, ‘빌 충’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사주명조가 극단적인 상황이면 반대편 글자가 작용한다고 봅니다.
地支에 午,午,午가 무리지어 있으면 子가 있는 것으로 봅니다. 단, 사주 명조에 충 이 있으면 도충의 성립이 안됩니다.
3) 육합(六合)
사주 명조에 寅자가 있으면 육합의 상대인 亥자가 숨어서 작용한다고 봅니다. 단, 충을 하는 申이나 巳가 있으면 안 됩니다.
4) 삼합(三合)
子와 辰이 반합을 하고 있으면 申이 숨어서 작용을 한다고 봅니다. 단, 충을 하는 午와 戌이 있으면 작용력이 약하다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 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_()_ 운재
'사주 명리 강의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0) | 2016.01.18 |
---|---|
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0) | 2016.01.18 |
제4강.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법 (0) | 2016.01.18 |
제3강 근묘화실 (根苗花實)로 분석 (0) | 2016.01.18 |
제1강 사주에 없는 글자의 해석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