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명리아카데미

[스크랩] 천간 이해하기

운재 2017. 9. 24. 15:35

천간(天干) 이해하기


10천간 12지지 즉 22간지로 표현된 사주팔자를 이해하고 해석함에 있어

천간 지지 각각 간지의 이해와 숙지 능력에 따라 해석의 깊이가 다름이 있을 것입니다.

천간 이해에 도움이 되고져 몇 자 정리해 봅니다.

 

예를 들어 천간  甲의 본질적(本質的)인 모습은

출생한 달이 인월(寅月)에 생(生)할 때와 신월(申月)에 생(生)할 때와 다르고

주위 간섭인자가 화(火)가 있는지 수(水)가 있는지에 따라 변화의 모습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갑목(甲木)이라는 체(體)는 하나이지만 그 쓰임(用)은 천변만변(千變萬變)의 변화를 품고 있으니

한마디로 갑목(甲木)을 설명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을 것입니다. 십간(十干)이 모두 이러하듯,

각  천간의 독특한 체(體))를 잘 숙지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간섭하는 천간 상호간의 관계 변화를 이해하고,

천간과 지지(地支)의 상응관계(相應關係)까지 면밀히 분석하여야 그 천간이 품고 있는 기운과 운동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사주 팔자의 해석이 가능하다 할 것입니다.

 

천간(天干)은 지지(地支)에 비하여 기적(氣的) 작용이 왕하다 할 것이며 정신적인 면에 강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사주팔자 해석시 대부분의 성패(成敗) 판단은 천간(天干)의 관계에서 좌우되고, 지지(地支)는 길흉(吉凶)부분에서 작용력이 크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십간(十干)은 각각(各各)이 갖고 있는 기운(氣運)이 순수한 것으로

기(氣)의 취산(聚散)을 말할 뿐이며 방위적 개념이 약하므로

극(剋)은 있으되 충(沖)의 성립은 약하다 봐야합니다.


세상의 만물(萬物)은 음양(陰陽)의 질적(質的)인 비율이 항상 같아야 합니다.

양(陽)이 성(盛)한 곳에 음(陰)이 쇠(衰)하고, 음(陰)이 성(盛)한 곳에는 양(陽)이 쇠(衰)합니다.

이것을 잘못 이해하면 양(陽)이 성(盛)해지면 음(陰)이 줄어들어 질량적 또는 에너지적인 면에서

음(陰)이 사라진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는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이것은 음양(陰陽)의 표면적 운동(運動)만 본 것으로

음(陰)이 밖으로 나오면 양(陽)이 쇠한 듯 보이고

양(陽)이 밖으로 나오면 음(陰)이 쇠한 듯 보이는 것이지

음양(陰陽)의 어느 한쪽이 사라진다든지 손실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목(木)은 목(木)으로서의 음양(陰陽)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화(火)는 화(火)로서 음양(陰陽)의 균형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느 개체를 관찰하고 바라볼 때는

그 개체 내부의 본질적인 모습과 외부와 대응하는 모습을 모두 보아야 합니다.

 

음양(陰陽)의 성쇠(盛衰)로 구분하면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는 양(陽)의 성장(成長) 과정이고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는 음(陰)의 성장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행(五行)의 개체(個體)로 구분하면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은 양(陽)이 되고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는 음(陰)이 됩니다.

 

한난(寒暖)으로 구분하면

병화(丙火)를 중심으로 갑(甲)을(乙)정(丁)무(戊)는 난(暖)하다 하고

계수(癸水)를 중심으로 기(己)경(庚)신(辛)임(壬)은 한(寒)한 기운(氣運)을 조장하게 됩니다.

이중에서 병화(丙火)와 계수(癸水)는 명(命)의 조후(調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조심스런 관찰이 필요합니다.

 


         한국명리학술원  

http://cafe.daum.net/kma2838

            

출처 : 한국명리학술원
글쓴이 : 운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