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대운(大運) 세우는 법

운재 2017. 3. 10. 00:31

대운(大運) 세우는 법

 

 

1. 대운(大運)이란?

 

사주팔자를 정립하여 그 팔자를 분석하려면, 대운을 알아야 그 운명의 흐름을 간파할 수 있습니다.

사주 네기둥이 자동차라면 대운이란 그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와 같은 것입니다. 자동차가 도로를 달릴 때, 가속할 수 있는 시기, 감속해야 하는 시기, 정체되는 도로, 빙판길, 우회하는 길, 넓고 좁은 도로, 주유소가 있는 지점 등등을 파악하듯 인생을 살면서도 우리를 지배하는 모든 환경적 요소를 예측하는 중요한 지도나 지침서 같은 것입니다.

 

사주가 좋아도 대운이 흉하면 어려움과 고통, 정체를 겪게 되고, 사주가 다소 허약해도 대운이 사주를 돕는 길운이 되면 평온과 발전, 행복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주와 대운의 관계는 절대적 불가분의 관계이며, 대운의 흐름을 모르면 운세 추론이 불가능합니다.

 

흔히 운이 막혀서 되는 일이 없다고 하거나 운이 좋아서 횡재를 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대운이 사주의 원국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는 것입니다.

 

 

2. 대운 간지 구성법

 

대운은 10년을 주기로 바뀝니다. 이 대운도 육십갑자로, 사주의 연간 음양에 따라 월주로부터 시작합니다. 양남(陽男).음녀(陰女)는 순행하며, 음남(陰男).양녀(陽女)는 역행하며 주어진 대운수에 육십갑자의 간지를 배열하게 됩니다.

 

]1) 양남 ‧ 음녀는 월주에서 순행한다.

    

    *양남: 甲子, 丙申, 戊辰, 庚午, 壬辰年생등....연간이 양

    *음녀: 乙巳, 丁丑, 己酉, 辛亥, 癸亥年생등....연간이 음

 

<예: 양남의 순행>               <예: 음녀의 순행>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壬 丙 甲 戊                         辛 丁 甲 辛

辰 寅 子 戌                         亥 卯 午 亥

 

(대운) 58 48 38 28 18 08            52 42 32 22 12 02 (대운)

庚 己 戊 丁 丙 乙            庚 己 戊 丁 丙 乙

午 巳 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2) 음남 ‧ 양녀는 월주에서 역행한다.

 

   *음남: 乙丑, 丁卯, 己巳, 辛卯, 癸丑年생등....연간이 음

   *양녀: 甲子, 丙寅, 戊午, 庚戌, 壬辰年생등....연간이 양

 

<예: 음남의 역행>              <예: 양녀의 역행>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辛 己 甲 辛                      戊 辛 甲 壬

未 巳 午 亥                      戌 巳 辰 戌

 

(대운) 55 45 35 25 15 05                51 41 31 21 11 01 (대운)

戊 己 庚 辛 壬 癸                  戊 己 庚 辛 壬 癸

子 丑 寅 卯 辰 巳                  戌 亥 子 丑 寅 卯

 

 

3) 대운수 계산법

 

행운(行運)하는 대운수의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남‧음녀는 미래절(未來節)로 계산

음남‧양녀는 과거절(過去節)로 계산

 

대운수(大運數)의 계산은 대상자의 출생일 바로 다음 날짜부터 절입(節入) 날짜까지 총 일수를 셈한 후 3으로 나누면 그 몫이 바로 대운수가 되며, 나머지 수가 2가 되면 몫에 1을 더하고 1이 남으면 버리고 계산합니다.

그리고 총 일수를 계산할 때 생일 다음날부터 세어나가며, 절입 날짜는 빼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3)-1.  양남‧음녀의 미래절로 계산하는 예

 

甲子年생으로 양남입니다. 양남은 다가올 미래절로 계산합니다.

돌아오는 절기 입동일은 음력 10월 15일이니 5, 6, 7, 8, 9, 10, 11, 12, 13, 14, 15일까지 세어보니 11일이며, 11일을 3으로 나누면 몫이 3이며 나머지는 2가 됩니다. 2가 남으면 몫에다 반올림하므로 사주 주인공의 대운수는 4가 됩니다.

 

<예1: 1984년 10월 4일 辰時생(음력) 남자>

時 日 月 年

戊 甲 甲 甲

辰 午 戌 子

 

64 54 44 34 24 14 04 (대운수)

辛 庚 己 戊 丁 丙 乙 (대운천간)

巳 辰 卯 寅 丑 子 亥 (대운지지)

 

癸亥年생으로 음녀입니다. 음녀는 다가오는 미래절로 계산합니다. 돌아오는 3월 절기 청명일은 2월 22일에 들었으니 2월 20, 21, 22일까지 3일이며, 3일을 3으로 나누니 몫이 1이고 나머지는 0이 된다. 이 사주는 주인공의 몫 1이 대운수가 되는 것입니다.

 

<예2: 1983년 2월 19일 辰時생(음력) 여자>

時 日 月 年

庚 庚 乙 癸

辰 申 卯 亥

 

61 51 41 31 21 11 01 (대운수)

壬 辛 庚 己 戊 丁 丙 (대운천간)

戌 酉 申 未 午 巳 辰 (대운지지)

 

3)-2.  음남‧양녀의 과거절로 계산하는 예

 

辛巳年생으로 음남입니다. 2001년 3월 1일은 아직 3월의 절기인 청명 이전입니다. 음남은 과거절로 역행하는 것이니 2월 절기 경칩일인 2월 11일까지 거꾸로 세면 2월 30, 29, 28, 27, 26, 25, 24, 23, 22, 21,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일까지 20일간이 되니 3으로 나누면 몫이 6이 되며, 나머지가 2가 되어 올림을 하므로 이 사주의 주인공은 대운수가 7이 됩니다.

 

<예1: 2001년 3월 1일 午時생(음력) 남자>

時 日 月 年

丙 丁 辛 辛

午 亥 卯 巳

 

67 57 47 37 27 17 07 (대운수)

甲 乙 丙 丁 戊 己 庚 (대운천간)

申 酉 戌 亥 子 丑 寅 (대운지지)

 

庚戌年생으로 양녀입니다. 양녀는 과거절로 역행하는 것이니, 7월 20일에서 입추절기 7월 7일까지 거꾸로 세면 7월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일까지 13일이 되니 3으로 나누면 몫이 4이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1이 남으면 버리라고 했으니, 몫이 4가되어 사주의 주인공은 4가 대운수가 됩니다.

 

<예2: 1970년 7월 20일 戌時생(음력) 여자>

時 日 月 年

壬 癸 甲 庚

戌 酉 申 戌

 

64 54 44 34 24 14 04 (대운수)

丁 戊 己 庚 辛 壬 癸 (대운천간)

丑 寅 卯 辰 巳 午 未 (대운지지)

 

 

 

한국명리아카데미  바로가기

http://cafe.daum.net/kma2838

'명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천간의 사전적 의미  (0) 2017.05.17
사주(四柱) 정립법  (0) 2017.03.10
[스크랩] 60간지 이야기  (0) 2016.09.28
[스크랩] 상관 이야기  (0) 2016.08.22
無字, 多字 心理硏究   (0) 2016.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