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 강의 (고급)

제4강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

운재 2016. 1. 19. 13:28

 

4강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은 남자에개는 재성과 관성을 여자에게는 관성과 식상을 찾아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육친의 오행과 재성, 관성의 길흉을 따져 보는 중요한 공부의 영역입니다.

배우자 인연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간지는 근묘화실에서 배우자 자리인 일지(日支)입니다. 남자는 육친중 정재를 베우자로 보며 지장간에도 정재가 없다면 편재를 배우자로 봅니다.

 

1. 남자에게 좋은 배우자

 

1) 천간에 정재가 있고 지지에 재성의 뿌리가 있다.

2) 천간에 정재가 없고 지지에 정재가 있다.

3) 천간 지지에 정재가 없고 지장간에 있다면 중기보다 여기에 있는 것이 더 좋다 고 봅니다.

4) 정재가 천간 지지 지장간에도 없을 때 편재를 배우자로 봅니다.

5) 대운에서 재성 운이 온다면 있는 것처럼 사용을 합니다.

6) 세운에서 재성 운이 오면 요긴하게 사용(결혼 등)을 합니다. 물론 재성이 사주팔자에 있는 경우보다 배우자 인연이 깊거나 길지는 못하겠습니다.

 

2. 여자에게 좋은 배우자

 

1) 정관이 천간에 있고 지지에 뿌리가 있으면 배우자 운이 가장 좋습니다.

2) 정관이 천간에 없고 지지에 있으면 그 다음 입니다.

3) 천간 지지에 정관이 없고 지장간에 있다면 중기보다 여기에 있는 것이 더 좋다 고 봅니다. 중기에 있는 배우자는 무늬만 배우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4) 정관이 천간 지지 지장간에도 없을 때 편관을 배우자로 봅니다. 편관만 있다면 정관보다 능력이나 용도가 좀 모자란다고 판단합니다.

5) 대운에서 재성 운이 온다면 있는 것처럼 사용을 합니다.

6) 세운에서 재성 운이 오면 요긴하게 사용(결혼 등)을 합니다. 물론 재성이 사주팔자에 있는 경우보다 배우자 인연이 깊거나 길지는 못하겠습니다.

 

3. 배우자 인연법

 

1) 육친으로 졍재나 정관에 해당하는 지지가 좋습니다. 남자는 지지에 정재가되는 배우자 띠를 만나는 것이 좋고, 여자는 정관이 되는 배우자 띠를 만나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천간에 정재나 정관이 있는 경우는 그 천간 바로 밑에 있는 띠를 만나면 좋습니다.

3) 재성이 여러개 있는 경우 년, 월에 있는 재성을 우선으로 배우자로 정합니다.

4) 일지가 배우자 자리이므로 일지에 있는 지지의 띠를 만나면 좋겠습니다.

5) 일지와 육합이나 삼합을 하는 띠와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기타 지장간에 있는 재성을 사용하기 위한 개고법,

공협하여 숨은 지지의 배우자를 만나는 공제법,

사주팔자가 극히 신약할 때 록(祿)지를 배필로 삼는 입록법.

7) 년월에 천간이나 지지에 같은 글자가 있을 때 그 글자를 합하는 자가 배우자 인 연인 2자 합연법

사주팔자에 천을귀인이나 문창귀인 등으로 배우자 인연을 맺는 귀인법

8) 팔자에 화()가 재성인데 없으면 , 생을 배우자로 삼는 무자법

일간을 입고시키는 띠를 배우자로 삼는 입고법

좋은 배우자를 만나면 팔자가 바뀝니다.

잘못 만난 것도 자기 복이겠지만 상대방 때문에 이렇게 된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배우자 선택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배우자를 뜻하는 육친이 년에 있으면 결혼이 빠르고, 시에 있다면 늦게 결혼할 확률이 높습니다.

 

4. 배우자 성씨 인연법

 

1) 음령오행 : - , . - , , , . - , .

- , , . - , , .

2) 일간인 여자가 관성이 이라면 김, , , 강씨 등과 인연이 깊습니다. 남자의 경우 일간이라면 재성이 가 되어서 민씨, 박씨, 표씨, 변씨, 문씨 등과 인연이 깊겠습니다.

3) 배우자의 성씨 뿐만 아니라 출신대학교, 직장명칭 등도 관성의 음령 오행으로 유추해 분석해 보면 상당히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앙 수 있습니다.

 

5. 자녀를 아들 딸로 나누는 법

 

1) 남자의 경우

. 편관을 아들로 삼고 정관을 딸로 봅니다.

. 자식의 순서는 년간, 년지, 월간, 월지, 일지, 시간, 시지 순서로 작용합니다.

. 간지에 드러나 있는 관성은 성공한 자녀로 보고 지장간에 숨어 있으면 자식이 있는 것으로 보지만 발전하기 힘든 자녀로 판단합니다.

 

2) 여자의 경우

. 양간 음간에 관계없이 식신은 아들 상관은 딸로 봅니다.

. 사주팔자에 인성이 강하면 자식의 수가 드문 것으로 봅니다.

. 팔자에 인성이 많으면 식상이 반가운데 이럴 때는 식신 상관에 구분 없이 아들로 간주합니다.

 

3) 행운에서 오는 순서

. 아들 딸은 사주 팔자 내에서 순서가 정해지며 행운에서 오면 자녀가 생산된다.

. 사주팔자에 있는 어느 천간이든 행운에서 천간 합으로 오는 자는 아들이 된다.

. 사주 팔자레 있는 어느 지지든지 육합을 이루는 자는 아들의 인연이 됩니다.

. 팔자에 지지 삼합을 이루어 오는 자는 딸과 인연이 많습니다.

. 망신살 해에 생산하는 자녀는 딸이 많습니다.

. 팔자에 卯 酉 충이 있으면 남녀 모두 자녀를 두기 어렵습니다.

. 합도 되고 충도 되는 불안한 합은 유산이나 부실한 자녀가 인연으로 옵니다.

 

4) 아들 낳는 방법

. 남자의 팔자에 천간합이나 육합으로 오는 자식은 아들 인연이고, 삼합으로 오는 인연은 딸로 봅니다.

. 남자가 반안살 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6개월 이상 수면을 취하면 아들을 낳는다

. 입태 시각이 자, , (11~ 새벽5) 입태를 하면 아들을 낳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자식 인연은 부부간에 모두 적용이 되므로 두 사람 모두 함께 보는데 일단 없다는 것은 실제 생산이 안 된다는 뜻도 있지만 부모를 봉양하지 않거나 자식 덕을 보는 일이 없다고도 봅니다.

 

자녀 인연법은 자녀의 생산을 생기는 대로 낳았던 시대가 아니고 요즈음 대부분이 가족계획을 세워서 자녀의 생산을 조정하여 낳는 시대가 되었기에 잘 맞지가 않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은 대운과 세운의 해석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http://blog.daum.net/nokbom

 

'사주 명리 강의 (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래정법(來情法)   (0) 2016.01.19
제5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해석  (0) 2016.01.19
제3강 직업과 전공  (0) 2016.01.19
제2강 성격 (性格)  (0) 2016.01.19
제1강 간지론  (0) 2016.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