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1. 천간과 지지의 분화
무극 --> 태극(음양) --> 사계절(오행) --> 천간(10천간) --> 지지(12지지)
대자연이 무극에서 음양 오행으로 분화하고 10천간 12지지로 분화되는 과정을 하
나의 개념으로 정확히 정리해야 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 천간 지지의 분화도 >
구 분 무 극
음 양 양 ( + ) 음 ( - )
오 행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천 간 |
甲 乙 |
丙 丁 |
戊 己 |
庚 辛 |
壬 癸 |
천간의 음양 |
+ - |
+ - |
+ - |
+ - |
+ - |
지 지 |
寅 卯 |
巳 午 |
辰戌 丑未 |
申 酉 |
亥 子 |
지지의 음양 |
+ - |
+ - |
+ - |
+ - |
+ - |
2. 천간과 지지의 분류
1) 천간(天干)의 분류
천(天)은 ’하늘 천’ 간(干)은 ‘방패 간‘이다.
하늘을 뜻하고 사람의 정신적인 면이나 의지를 상징한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로 지지(地支) 위에 위치하고 개수가 10개 이므로 ‘10천간’이라고 한다.
천간을 부르는 용어로 ‘십간(十干)’또는 ‘간(干)’이라고 한다.
2) 지지(地支)의 분류
지(地)는 ‘땅 지’이고 지(支)는 ‘가를 지‘를 뜻한다.
땅은 하늘 아래에 위치하므로 천간 아래에 지지가 있다.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地支의 개수는 12개이므로 ‘12지(十二支)’라고 하며 지지를 ‘지(支)’,‘12지’라 한다.
3. 천간 지지의 역할
1) 천간의 역할
오행(五行)이 각각 음양으로 나뉘어 10천간으로 분화 되엇다.
천간은 하늘의 기운을 뜻하고 사람의 정신적인 면이나 의지를 뜻한디.
* 목(木) - 갑(甲) : 초봄, 솟아오르는 운동을 뜻한다.
을(乙) : 늦봄, 펼치려는 운동을 뜻한다.
* 화(火) - 병(丙) : 초여름, 발산하는 운동을 뜻한다.
정(丁) : 늦여름, 2차 발산 운동을 뜻한다.
* 토(土) - 무(戊) : 양(陽)운동의 극단을 뜻한다.
기(己) : 음(陰)운동의 시작을 뜻한다.
* 금(金) - 경(庚) : 초가을, 수축하는 운동을 뜻한다.
신(辛) : 늦가을, 하강 분리하는 운동을 뜻한다.
* 수(水) - 임(壬) : 초겨울, 응집하고 모으는 운동을 뜻한다.
계(癸) : 늦겨울, 수렴하고 저장하려는 운동을 뜻한다.
2) 지지의 역할
천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와 12지지로 분화 하였다.
지지는 땅에 실현되는 시간적 환경이고 사람의 현실적인 면이나 환경을 뜻하는 것이며, 천간의 운기가 실현되는 모양을 설명한 것이고 환절기인 토(土)의 기운이 각 계절의 끝에 배치되었다.
목(木) - 봄 - 甲乙 - 인(寅), 묘(卯), 진(辰)
화(火) - 여름 _ 丙丁 - 사(巳), 오(午), 미(未)
금(金) - 가을 - 庚辛 - 신(申), 유(酉), 술(戌)
수(수) - 겨울 - 壬癸 - 해(亥), 자(子), 축(丑)
* 천간의 뿌리 역할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두지 못하면 생각이나 의지로 끝나고 실제로 현실에 사용 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 12지지 고유의 역할
12지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합충형파(合沖刑破) 등의 간섭에 의해 변화하며 사계절에서 분화하여 1개월 단위의 운동으로 세분하여 구분되고, 또 각 지지마다 지장간이라는 천간의 기운을 내포하여 변화가 다양하기에 지지 고유의 운동성과 기질 역할 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계절의 역할
10천간에서 12지지로 분화되는 과정에서의 토(土)는 계절의 끝에 위치하며 환절기로써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의 연결 역할을 한다.
* 기운의 구분
12운성의 장생지, 제왕지, 입묘지로 운기를 나누어 구분한다.
寅,申,巳,亥는 장생지(長生地). 子,午,卯,酉는 제왕지(帝旺地), 辰,戌,丑,未는 입묘지(入墓地) 또는 장지(藏地)로 구분한다.
- 끝 -
한국명리 아카데미 바로가기
'사주 명리 강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충(沖),형(刑),파(破),해(害) (0) | 2016.01.18 |
---|---|
제5강 합(合) (0) | 2016.01.18 |
제4강 지장간 (地藏干) (0) | 2016.01.18 |
제3-2강 12 지지 (0) | 2016.01.18 |
제3-1강 10 천간 (0) | 2016.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