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12운성(運星)

운재 2014. 8. 12. 13:40

12운성(運星)

 

1.12운성의 의미

 

12운성은 천간대 지지의 관계 변화이다.

모든 만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 공간속에서 잠시도 쉬지않고 변화하는 것은 불변의 진리이다. 만물의 변화과정은 나름대로 일정한 법칙에 따라 변화하며, 명리학에서 만물의 생성과 소멸이 12단계를 거쳐서 생, 로, 병, 사, 한다는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 12운성이다.

12운성은 10천간의 생성과 소멸의 기운 변화 과정을 12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다.

천간대 지지의 관계 변화는 12운성으로 분석하며, 혹은 포태법이라고도 한다.

 

2. 12운성의 분류

 

1) 장생(長生): 식물의 싹이 트거나 인간의 탄생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말한다.

2) 목욕(沐浴): 식물이나 사람이 태어난 후에 목욕을 시켜 탄생시 묻은 오물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말한다.

3) 관대(冠帶): 만물이 성장한 사람처럼 스스로 옷을 입고 허리 띠를 메는 것과 같은 상태의 기운 등을 의미한다.

4) 건록(建祿): 만물이 장성한 사람이 임관하여 벼슬길에 오르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말한다.

5) 제왕(帝旺): 만물이 체력이나 정신력이 최고의 절정기를 맞은 것과 같은 상태의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6) 쇠(衰): 왕성한 시기를 지나서 기력이 쇠퇴해져 가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7) 병(病): 만물이 쇠약해져 사람이 병이나고 약해져 가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8) 사(死); 만물이 병들어 죽은 상태나 움직임이 전혀 없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으l미한다.

9) 묘(墓): 만물을 창고에 거두어 들이듯 사람이 죽어 무덤에 들어간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10) 절(絶): 모든 것이 끝나고 끊어진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하며, 12운성중 가장 약한 상태이다.

11) 태)胎): 새로운 시작을 말하며 자궁속에 태아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12) 양(養): ‘양육‘된다는 뜻이며 만물이 자궁 속에서 자라나 탄생을 준비하는 것과 같은 시기 기운 운동성 등을 의미한다.

 

12운성은 탄생, 성장, 쇠퇴, 소멸하는 만물의 변화과정을 설명한 것인데 자연의 법칙은 예외없이 위의 12단계를 순환하는 것이다. 어느 한 천간이 만나는 지지가 쇠지에 있는가 새로운 장생지에 있는가는 그 천간의 기운 등 강약을 구분 할 때나 육친의 상태 변화 등을 관찰 할 때 중요하게 분석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12운성이다.

 

3. 12운성의 적용

 

10천간 陽干: 甲, 丙, 戊, 庚, 壬 - 순행(順行)

          陰干: 乙, 丁, 己, 辛, 癸 - 역행(逆行)

陽干은 솟아오르고 발산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순행하고, 陰干은 떨어 뜨리고 수렴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역행한다.

 

陽은 양생음사(陽生陰死)와 陰은 음생양사(陰生陽死)는 ‘양이 태어나는 곳에서 음이 死하는 것’은 음양이 서로 교환되는 자연의 이치이고 진리이다.

 

丙, 戊는 寅에서 長生하며 순행하여 午에 帝旺, 酉에 死, 戌에 墓, 丑에 養이 되며

丁, 己는 酉에서 長生하며 역행하여 巳에 帝旺, 寅에 死, 丑에 墓, 戌에 養이 된다.

壬은 申에서 長生하며 순행하여 子에 帝旺, 卯에 死, 辰에 墓, 未에 養이 되며

는 卯에서 長生하며 역행하여 亥에 帝旺, 申에 死, 未에 墓, 辰에 養이 된다.

 

4. 12운성의 응용

 

12운성을 잘 운용하면 천간과 지지의 관계 분석이나 육친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수 있으며, 특히 세운에 적용하면 적중률이 매우 높으며, 12운성으로 성격, 체질, 직업 등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12운성을 일간에 적용하는 것은 일간의 강약에 참고하며, 대운의 적용은 약하지만 세운의 적용은 그 적중률이 매우 높고, 육친으로 재성이나 관성을 12운성에 대입하여 관찰하면 그 육친의 기운이나 운동성을 분석하는데 대단히 유용함을 숙지하여야 한다.

 

1) 長生 : 시작 출발 개업 계승 장수 발전을 상징한다.

사주에 재성이나 관성이 장생지를 얻으면 성공이나 발전의 기틀이 마련된 것으로 분석하며, 운에서 만나도 새로운 일이나 사업을 시작해도 좋다는 신호로 해석한다.그러나, 長生이 4흉신(겁재 상관 편관 편인)과 동주하거나 형, 충, 파, 해가 되면 그 영양력이 감소한다.

2) 沐浴 : 정직 호색 도화 경솔 천박 직업이나 주소의 불안정

장생을 지나 왕지로 향하는 단계로 타인에의해 목욕하는 것처럼 잠시 어려움을 겪을지 몰라도 발전 상승의 과정이므로 그렇게 나쁘게 해석하지 않는다.

3) 冠帶 : 고집 출세 상승 발전을 상징함

사주에 관성이 冠帶를 만나면 직장 명예의 발전이 기대되며, 재성이 관대를 만나면 사업 번창하고 재산이 늘어나는 발전의 징조로 본다.

4) 建祿 : 일명 임관(臨官) 진취적 발전 자수성가 가정화목 실천능력을 상징함

재성이나 관성이 건록(建祿)지를 얻으면 경사가 있고 재물이 발전한다. 월지에서 만나면 부모 형제 덕이 부족하며 중년이후에 자수성가하는 경향이 많다.

5) 帝旺 : 절정 독립 횡포 명예 권력 낭비 이별을 상징함

12운성중 가장 운기가 왕성한 것인데 월지에 있으면 독립심이 강하고 상속운은 없고 금전 낭비벽과 운명의 기복이 심하다. 사주에 제왕이 있으면 인간관계가 능숙하고 치밀하며 권력에 대한 욕망이 많으며 재성이나 관성이 제왕을 만나면 크게 이름을 떨치거나 갑부가 된다. 여자가 일지에 제왕이 있으면 남편덕이 부족하다.

6) 衰 : 보수적 신중 쇠퇴 계승 시기심 학자 종교인을 상징함

사주에 재성이나 관성이 衰를 만나면 재물과 명예운이 점차 쇠퇴해 지므로 도전 확장 등을 멈추고 안정적인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인정이 많고 남의 부탁을 거절 못해 피해를 보고 특히 보증에 의한 파산을 주의 하여야 한다.

7) 病 : 질병 신경질 결벽증 오락 친척간에 인연적음 우유부단 등을 상징함

사주에 病이 있는 사람은 신체 허약하고 부모와 이별 우려가 있다. 재성이니 관성이 病지를 만나면 현상유지에 신경을 써야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8) 死 : 죽음 정지 학예 기술 신용을 상징함

사주에 死가 있는 사람은 소극적이며 결단력이 없으며 겁이 많아 호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나 학문 예술 방면에 재주가 있으며 인연이 깊다. 일지에 死가 있으면 병약하고 부모덕이 없고 시지에 있으면 자녀 인연이 박하고 자녀의 봉양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9) 墓 :이별 축적 욕심 고독 종교 계승 등을 상징함

사주이 死가 있으면 부부의 인연이 쉽게 변하기 쉬우며 축적의 개념이 발달하고 금전을 모으는 것을 잘하여 생활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구두쇠가 되기 쉽다.

10) 絶 : 소심 불안감 비지속성 단절 걱정 색정으로 인한 실패 등을 상징함

단절의 운기을 대표하므로 재물과 명예를 감당하가 힘들며, 월지가 絶이면 인수와비견이 필요하고 재와 관을 감당할 수가 없다.

11) 胎 : 의존심 불안 임신 질병 술주정 수다 등을 상징함

사주에 胎가 있으면 몸이 허약하고 평소 과묵하지만 술을 먹으면 수다스럽다. 재성이 운에서 胎지를 만나면 골목안 등 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작은 규모로 사업등을 시작해도 좋다고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12) 養 : 인내력 노고 양자 화합 친가와의 인연부족 등을 상징함

養은 잉태하여 배 속에서 자라고 있는 형상으로 재성이 運에서 養을 만나면 점차 성장을 하는 모습이므로 일을 꾸준히 해 나가도 좋은 시기라 할 수 있다.

 

5. 12운성 세운 적용법

 

일간의 적용은 강약에 참고할 수준이며 대운의 적용은 약하지만, 육친의 세운 적용은 매우 적용력이 크다. 식상 재성 관성 인성의 운기를 세운에서 관찰하여 12운성에 대입하여 각 육친의 그해의 상황을 짐작 할 수 있다.

 

1). 長生 운을 만났을 때 - 새로운 일을 시작하여도 좋다.

 

2). 沐浴 운을 만났을 때 - 약간의 어려움을 겪으나 점차 좋아진다.

 

3). 冠帶 운을 만났을 때 - 식상, 재성이면 사업이 번창하고, 관성, 인성이면 승진의 기회가 된다.

 

4). 建祿 운을 만났을 때 - 경사가 있고, 재물이 발전합니다.

 

5). 帝旺 운을 만났을 때 - 최고의 행운의 시절입니다, 기쁜 일이 많습니다.

 

6). 衰 운을 만났을 때 - 아직 기운이 남아 있으나 점차 기울어집니다.

 

7). 病 운을 만났을 대 - 쇠퇴한 기운이 점차 뚜렷해집니다.

 

8). 死 운을 만났을 대 - 어떠한 일도 마무리 지어야하는 상황입니다.

 

9). 墓 운을 만났을 때 - 사업 실패나 해당 육친의 사별 및 이별합니다.

 

10). 絶 운을 만났을 때 - 모든 일이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11). 胎 운을 만났을 때 - 새로운 일을 작게 시작해도 좋습니다.

 

12). 養 운을 만났을 때 - 점차 자라고 있는 상태입니다.

 

 

6. 양간과 음간의 해석

 

양간은 墓, 絶, 胎, 養에 어려운 시기를 보냅니다.

음간은 衰, 病, 死에 어려운 시기를 보냅니다.

 

각각의 천간이 12지지를 돌아가면서 만나는 상태가 생, 왕, 묘, 절로 표현이 되며 이것은 생극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음간과 양간의 생사가 다르니 그 이치를 알아야 합니다.

 

12운성에서 양간은 순행하고 음간은 역행을 합니다. 양은 솟아오르고 발산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주로 순행하고 음은 떨어뜨리고 수렴하는 속성을 따라서 역행합니다.

 

12운성 해석을 오행으로만 구분하고 음양으로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음간의 역행을 사용하지 않고 양간의 순행만을 사용하여 오행으로 묶어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학설을 취하고 버리고는 학인들의 몫이며, 신사주학에서는 오행으로 보는데 필요에 따라 음간 역행을 사용 하므로써 ‘사주를 마치 본 듯이 감명 하더라’ 는 애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음간을 사용할 경우는 사주에 甲과 乙이 모두 있고 그것을 편재와 정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未운을 만나면 모두 입묘된다고 보지 않고 甲만 입묘되고 乙은 입묘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재성이 전부 입묘 되면 살길이 없으니 乙을 사용해서 살아야지요.

 

甲은 未에 입묘되지만 乙은 未에 養지이니, 乙을 이용해 養의 기운을 활용하여

살아감이 좋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멋지고 좋은날 보내세요~~

 

 

'명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진술축미의 지장간` 암기  (0) 2015.02.18
12운성(運星)의 활용  (0) 2014.08.19
무자(無字)의 해석  (0) 2014.08.08
육친의 일반적 의미  (0) 2014.07.25
간지(干支)의 관계  (0) 201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