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干支)의 관계
천간-천간의 관계
천간-지지의 관계
지지-지지의 관계
1. 천간대 천간의 관계 (천간合, 沖, 三奇)
1) 오행의 생극관계
기본적으로 오행으로 生剋관계가 있겠죠. 예를 들어서 甲하고 庚에 있으면 이 두 글자 사이에 오행적으로 甲은 木에 속하고 庚은 金에 속하니까 오행 생극(生剋) 관계는 다 있다.
2) 천간합 (天干合)
천간합(天干合)은 음양적 조화력이 가장 완벽하게 이루어진 합이다.
천간합(天干合)이 가장 강한 陰陽合 또는 이상적인 합이다.
천간은 합(合)을 두려워합니다. 합(合)을 한다는 것은 합(合)을 탐하면 자기의 능력이나 역량이 크게 삭감되기 때문입니다.
천간합(天干合)이라는 것은 정신적인 맹목을 자꾸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정신적인 맹목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결국은 자신의 어떤 정신적인 역량이나 뜻 의지 이런 것들을 크게 훼손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이합(合)을 하고 싶은 것이다.
그 이유는 천간합은 가장 이상적인 음양의 결합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자꾸 끌리는 것이다.
자기 원래의 역량대로 甲이 己를 만나서 이렇게 천간합(天干合)을 이루는데 서로 짝이 되므로서 자기 역량을 크게 잃어버리는 거죠. 자기 실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에요.
탐합망아(貪合忘我)- ‘합(合)을 탐하여 자기 자신의 본분을 잊어 버린다’고 하는 것은 천간은 合을 만남으로서 그 정신적 뜻의 왜곡이 심해 진다.
3) 천간충 (天干沖)
천간충(天干沖)은 그 沖의 부정적 작용은 크지 않다. 오히려
천간충은 서로 충극에 의한 정신적 역량을 더 강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天干 甲하고 庚은 오행적으로 甲木과 庚金이며 서로 극을 하면서 陰陽的으로 甲(陽), 庚(陽) 陽 으로 같고, 서로 기운적인 작용(팽창,수축기운)이 정 반대로 놓이게 되는데 이렇게 天干에 서로 沖의 기운이 만났을 때 정신적으로 더 甲, 庚의 역량이 크게 강화된다.
4) 삼기(三奇)
삼기란 甲戊庚, 乙丙丁, 壬癸辛을 말한다.
천간의 세 기운 甲戊庚, 乙丙丁, 壬癸辛이 年月日이나 月日時에 나란히 있는 것을 말한다.
천간에 삼귀가 있으면
1) 정신이 보통인과 다르고 항상 기이한 것을 좋아하고
2) 큰 것을 숭상하고 학문과 예능을 좋아하고 재능이 탁월하다.
3) 천을귀인, 천월덕 등 吉星과 동주하면 박학 다능하고 영화를 누리고 국가의 주요 인물이 된다.
天上三寄는 甲戊庚이며 丑土가 있으므로 地를 얻는다.
地下三寄는 乙丙丁이며 巳午未가 있으므로 地를 얻는다.
人門三寄는 壬癸辛이며 卯巳午가 있으므로 地를 얻는다.
삼기(三奇)라는 것은 천간에 중요한 역할이나 뜻을 같이 하여 정신적 충일을 만들어 주는 길신이다.
대체로 길신의 작용을 신(神)이라 하고, 흉은 흉살을 살(殺)이라 한다. 이런 표현으로서 신(神)과 살(殺)을 따서 신(神)은 긍적적인 의미, 살(殺)은 부정적인 의미가 된다.
2. 천간대 지지 관계
천간대 지지 관계에서 발생하는 변화에는
공망(空亡), 12운성, 12신살, 各種神殺 (天乙貴神, 福星貴神 등, 白虎大殺 魁罡殺 등 ......) 五行生剋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1) 공망(空亡)
2) 12운성
3) 12신살
4) 각종신살
상기의 천간대 지지 관계에서 발생하는
공망 12운성 십이신살 등은 사주 감명시 매우 중요하고 깊이 공부하여야 할 부분 이므로 항후 각 항목별로 정리 공부 할 것임.
3. 地支대 地支 관계
地支대 地支 관계는 합(合)이 있고 충(冲), 형(刑), 파(破), 해(害) 기타 등등 여러 가지 그 다음 각종 신살(神殺)이 있습니다.
지지와 지지끼리의 관계라고 하는 것은 현실적인 관계의 변화로 그 만큼 세상살이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미우면서도 사랑하고 사랑하면서도 미워하는 등 복잡하게 얽히고 설켜 있는 地支-地支의 관계 변화를 얼마나 심도 깊게 궁리 하느냐가 명리공부의 深淺의 깊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천간의 정신적인 면은 대체로 비교적 운동 방향이 단순하다.
하지만 지지와 지지끼리는 굉장히 복잡합니다.
합(合)도 ❶방합(方合), ❷삼합(三合), ❸육합(六合), ❹암합(暗合), ❺요합(嶢合)이 있다.
요합이라는 것은 年地 時地 처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合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짝을 못 맺도록 해 놓았는데 그리워서 일까요 저 안쪽에 있는 그 마음과 마음끼리만 싹~ 끌리게 하는 그런 특이한 형태의 合이다.
地支合중에 방합(方合)의 결집력이 가장 센 것은, 巳午未 방합에 있어 亥가 와서 亥-巳 충으로 합을 깨려 할때, 未가 있어서 亥-未 합으로 亥의 힘을 뺏아 巳를 보호함으로 방합은 쉽게 외부의 힘으로 상하지 않는다. ‘계절합, 가족합’ 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합(合)도 복잡하고 충(冲)도 작용하고 형(刑)도 있고 파(破)도 있고 12신살(神殺)도 있고 각종신살(神殺)도 있고 지지(地支)대 지지(地支)끼리의 관계라고 하는 것은 굉장히 복잡한 변화 양상을 많이 만든다.
천간의 충(冲)은 스스로 그것을 뜻을 해소할 수 있고, ‘미운 놈은 밉다’ 그것으로 끝낼 수 있지만, 지지의 충(沖)은 나와 충돌하는 놈하고는 치고받고 싸우고 울고 웃는 처절하고 복잡한 현실의 관계인 것입니다. 천간끼리 부딪히는 것과 지지끼리 부딪히는 것은 이렇게 沖의 양상이 다릅니다.
이렇게
간지의 관계를 큰 틀에서
천간대 천간, 천간대 지지, 지지대 지지로
일단
나누어 정리해 봅니다.
끝
운재
'명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자(無字)의 해석 (0) | 2014.08.08 |
---|---|
육친의 일반적 의미 (0) | 2014.07.25 |
지장간 (地藏干) (0) | 2014.07.08 |
지지파해&원진 (地支破害&怨嗔) (0) | 2014.07.07 |
지지형 (地支刑) (0) | 2014.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