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풍급수

[스크랩] 이사 택일

운재 2014. 5. 31. 12:35
dia_gray.gif 이  사  택  일 dia_gray.gif

                                           

   이사 방위나 날짜 등에 구애 받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이사하는 사람에게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방위를 가리고 날짜를 가려 좋은 방위, 날짜에 이사를

  하려는 분을 위해서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삼살(三殺) 대장군방(大將軍方)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 해의 삼살 및 대장군방을 막힌 방위라 하여 가리는 이의 입장에서는 삼살방과 대장군

  방으로는 이사를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삼살은 음택에 묘의 좌를 꺼리고, 양택에 건물의 좌를 꺼리며,

  또 삼살, 대장군방에는 건물을 달아내거나 수리하지 아니하며 이 두 방위에서는 흙을 파다 쓰지 않는다.

  그러나 이사할 곳이 삼살방에 해당될지라도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새로 이사할 집의 거리가 일백보

  이내에서만 꺼리고 일백보 이상이 되면 삼살방을 범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대장군방은 이사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러므로 방위가 좋으냐 나쁘냐 하는 것은 이사할 주인공 및 온가족이 함께 이사할

  경우에는 세대주 부부의 명(命 - 몇 살)으로 판단해야 한다. (이사방의 일람표를 참고로 하기 바람)

  - 손에 대하여

  손이란 술어(述語)로 태백살(太白殺)을 칭한다. 손 즉 태백살은 음력 날짜에 의해 한 방위에서 2일씩

  머물면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다가 9일과 10일에는 방위에 머물지 않고 위(하늘)로 올라간다.

  --1. 2일(11, 12, 21, 22일도)은 동쪽에 머문다.
  --3. 4일(13, 14, 23, 24일도)은 남쪽에 머문다.
  --5. 6일(15, 16, 25, 26일도)은 서쪽에 머문다.
  --7, 8일(17, 18, 27, 28일도)은 북쪽에 머문다.
  --9. 10일(19, 20, 29, 30일도)은 하늘로 오른다.
  그러므로 태백살 즉 '손'은 9일과 10일(19, 20, 29, 30일)은 머무는 방위가 없다 하여 무조건

  스무아흐레와 그믐(29, 30)에는 이사를 하느라 법석이다. 그렇더라도 9일과 10일과 19일 20일도

  마찬가지인 데 하필 스무아흐레와 그믐일까? 원칙대로 말한다면 동쪽방 이사는 1일.

  2일(11, 12, 21, 22일도)을 피하고, 남쪽방 이사는 3일. 4일(13, 14, 23, 24일도)을 피하고,

  서쪽방 이사는 5. 6일(15, 16, 25, 26일도)을 피하고, 북쪽방 이사는 7, 8일(17, 18, 27, 28일도)을 피하여

  이사날짜를 정하면 된다.


- 이사방위표

동서남북 네 곳, 정방위(正方位)와 동서남북 네 곳 간방(間方)과 중앙방을 합쳐 아홉 방위에 대한

길흉방이 있다. 이 아홉 방위에 매인 명칭을 구궁방(九宮方)이라 하고, 구궁 방위는 네 곳의 길방과

다섯 곳의 흉방으로 되었다. 즉 천록(天祿), 식신(食神), 합식(合食), 관인방(官印方)은 길방이고

안손(眼損), 증파(甑破), 오귀(五鬼), 진귀(進鬼), 퇴식방(退食方)은 흉방이다. 이사에 방위를 가릴 경우

막혔다는 삼살이나 대장군방을 꺼리는 게 아니고 이상에서 지적한 안손, 증파, 오귀, 진귀, 퇴식방을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사 길흉방 알림표> ○는 길방, X 는 흉방
남녀
남자의 연령 (당)
여자의 연령 (당)
구분/연령
1
2
3
4
5
6
7
8
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73
74
75
76
77
78
79
80
81
천록(天祿) O
서남
동북
서북
동남
동남
서남
동북
서북
안손(眼損) X
동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서북
식신(食神) O
동남
서남
동북
서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증파(甑破) X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오귀(五鬼) X
서북
동남
서남
동북
동북
서북
동남
서남
합식(合食) O
동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서남
진귀(進鬼) X
동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서남
관인(官印) O
동북
서북
동남
서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퇴식(退食) X
서남
동북
서북
동남
서남
동북
서북
동남


2. 방위가 나쁠 때


예를 들어 당년으로 남자 37세(28, 46, 56세 등)와 여자 29세(38, 47, 56세 등)는 정동(천록), 정북(관인),

동북(합식)방의 이사가 길한 데, 서쪽방(오귀)에서 아파트를 분양 받아 이사하게 되었다. 방위를 보니 오귀방위라

꺼림칙하다. 그러나 이곳(서쪽)으로 이사를 아니할 수 없는 입장인 데 어떻게 해야 하나.

이럴 때 물론 부적으로 오귀방을 막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부적도 사용해 볼 수 있는 것이지만 그것보다도 우선

방위를 우회(迂廻)해서 길방으로 맞추어 가는 요령을 써야 한다.(이것은 方便이다.) 즉 위 연령 주인공은 정동.

동북. 정북이 길방이므로 이 방위를 맞추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서쪽(오귀)을 피해야 하므로 세대주 부부 둘 중

서쪽이 나쁜 사람을 이사할 전일에 새로 이사할 집(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등)을 기준 서쪽 방위로

더 나아가(1km 이내 정도) 친척집이나 여관에서 자고 다음날 이사할 집으로 가면 (이렇게 되면 서에서 동으로 가는

셈이 되어)길하다.

출처 : 산사와 인연
글쓴이 : 법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