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보배추의 약효
해수, 천식 부인병에 특효, 곰보배추
곰보배추는 한겨울에도 푸른잎을 지니고 있다.
곰보배추는 해수, 천식, 기침에 최고의 선약이다.
곰보배추를 경상도 지방에서는 문둥이배추라고도 부르는데
언뜻 보기에 배추를 닮았으나 배추보다 훨씬 작고 잎에 주름이 많으며 비릿한 맛이 난다.
곰보배추는 겨울철에도 잎이 시들지 않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보랏빛으로 피고 생김새가 배암차조기라는 풀과 닮았다.
추위에 약해 중부 지방에는 자라지 않고 남부 지방의 묵은 밭이나
논둑, 마당가 같은 곳에 흩어져 자란다.
곰보배추로 감주(식혜)를 만들어서 가족 전체가 음료수 대용으로
음용해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곰보배추의 뿌리에 관해서
중국의 <강서민간초약험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곰보배추의 뿌리를 '설견초근'이라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복지홍근자'라고 부른다.
꿀풀과 식물인 설견초의 뿌리이다.
주로 4~6월에 채취한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피를 식히고 잘 순환하게 하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토혈, 비출혈, 붕루, 타박상, 요통, 종독, 경부에 나는 단독을 치료한다.
또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혈분에서 열사를 제거하며
부스럼을 제거하고
토혈, 비출혈을 멎게 한다.12~2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으로 쓸 때는 짓찧어 바른다.
토혈의 치료에는 곰보배추뿌리 20~30그램을 돼지 살코기 16그램을 함게 고아 복용한다.
자궁 출혈의 치료에는 곰보배추 뿌리 25그램과 오징어 한 마리를 약한 불에
고아서 함께 복용한다.
무명 종독, 타박상의 치료에는
곰보배추 뿌리를 짓찧어 적당량의 달걀 흰자위를 넣고 섞어서 상처에 붙인다.
타박상일 때에는 술지게미를 넣고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아랫다리가 벌겋게 된 증상에는 곰보배추 뿌리 25그램, 마란근 10그램, 청목향 4그램,
사와락 10그램, 박하 3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고질성 요통의 치료에는 곰보배추 뿌리 20~40그램을 술과 물 절반씩 넣고
달여서 하루에 한 번 복용한다.
감기 발열의 치료에는 곰보배추 뿌리 40그램, 유엽백전 2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곰보배추의 전초에 관해서
중국의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곰보배추의 다른 이름은 수양이, 과동청, 천명정, 봉안초, 뢰사초, 격동청, 설리청, 야저채,
근하홍, 소화혈, 여지초, 설견초 등 고의서 마다 매우 다양한 이름이 있다.
꿀풀과의 식물인 설견초의 전초이다.
뿌리도 약용한다.
곰보배추는 따뜻하고 습기 있는 환경을 좋아한다.
토양은 비옥하고 모래가 섞인 푸석푸석한 흙이 비교적 좋다.
번식은 주로 종자로 번식한다.
가을철 9~10월에 파종한다.
거름과 섞어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파종한다.
싹이 나오면 웃거름을 한차례주고
어린잎이 7~10센티미터 자라면 옮겨 심거나
한 구덩이에 4~5포기씩 남겨두고 솎아낸다.
사이갈이, 김매기와 동시에 한차례 웃거름을 주어 월동시킨다.
병충해로는 귀뚜라미와 청벌레가 생기는데,
해충이 많을땐 퇴치해야 한다.
채취는 3~5월에 채취한다.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즉 호모플랜타지민, 히스피두린, 에우파포린,
에우파포린-7-글루코사이드가 들어 있다.
그밖에 페놀성 물질, 정유, 사포닌, 강심 배당체, 불포화 스테롤, 폴리테르페니가 들어 있다.
종자에는 지방유가 들어 있다.
그리고 4-히드록시-펜일, 락틱, 에시드, 프로토카테추익에시드도 들어 있다.
맛은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또는 맛은 매우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랑혈, 이수, 해독,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해혈, 토혈, 혈뇨, 자궁출혈, 복수, 백탁, 목구멍이 붓고 아픈데, 옹종, 치질, 타박상, 거담,
인후18증 치료, 악성 매독 발진, 해독, 음낭 음부 습진, 부종, 습열풍진, 복부 팽만, 해수,
이질, 치통, 급성 편도선염, 화농성 중이염, 초기 급성 유선염, 뱀 또는 개에 물린 상처,
파상풍, 소아 감적, 자궁 경관염, 만성 기관지염, 지해, 천식, 가래를 치료한다.
곰보배추는 명백한 부작용은 없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가벼운 두통, 현기증, 구갈, 오심,
상복부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곰보배추의 열매는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간경, 신경에 들어간다.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기의 순환을 조절하며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체기를 풀며 위장이 아픈데, 허리 또는 아랫배가 붓고 아픈데,
부인의 혈기자통을 치료한다.
하루 4~12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지어 또는 가루내어 복용한다.
<본초종신>에서는 "한습체기가 없는 자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 곰보배추와 유사한 약성을 가진 산야초
ㅇ 기침 : 야관문,생강나무,천문동,야생복숭아씨,오미자
ㅇ 기관지천식:흰작두콩,야생복숭아씨,야관문,아카시아나무씨앗
ㅇ 알레르기성 비염,천식 : 산목련껍질_뿌리,대추,감초,도꼬마리,어성초.(모셔온글)
.
생강나무꽃 . **사진제공:노루발풀 **
아무말 없이/도현아(도희)
김정호 / 작사작곡 도희(도현아) / 노래
사무치는 외로움만 남기고 떠나간 사람
소리쳐도 대답이 없네 말없이 떠나 버렸네
*때로는 잊으려 두눈을 감지만 보고 싶은 당신의 얼굴
남아있는 미련일랑 바람에 날려 보내리
그대 가버린 이 자리가 이렇게 슬플줄이야
아무말 없이 아무말 없이 돌아 올 수 없는 건가요
'산야초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식초가 얼짱을 만든다/♬정인(情人) (0) | 2010.02.07 |
---|---|
[스크랩] 토종약초,생약의 항암작용 (0) | 2010.02.07 |
[스크랩] 매일 매일 새로운 이벤트를... (0) | 2010.02.07 |
[스크랩] 피로하게 되지 않는 눈 만들기 (0) | 2010.02.07 |
[스크랩] 암을 이기는 한국인의 음식 / 신선초 (0) | 201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