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사주(四柱) 정립법

운재 2017. 3. 10. 00:34

사주(四柱) 정립

 

 

사주는 연, 월, 일, 시의 네 기둥을 말하는데, 태어난 해의 간지를 연주(年柱)라 합니다. 사주의 네 기둥에는 근(根), 묘(苗), 화(花), 실(實) 즉, 뿌리(조상), 싹(부모.형제), 꽃(자신과 배우자), 열매(자식)이 있고,

왕(旺).쇠(衰).강(强).약(弱). 생(生).극(剋).제(制).화(化)의 원리에 의해 그 뿌리가 잘 내렸는가, 싹은 잘

자라는가, 꽃은 아름답게 필 것인가, 열매는 어느 정도의 결실이 되는가를 판단하게 됩니다.

 

1. 연주(年柱) 정립법

 

연주(年柱)는 태어난 해의 간지를 말하는 것으로, 육십갑자의 하나입니다.

1958년에 태어났으면 그해의 육십갑자는 戊戌이 되며, 2001년에 태어났으면 辛巳가 됩니다.

단, 연주를 세울 때는 음력 새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입춘(立春) 절기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음력 1990년 1월 3일에 태어난 사람은 90년의 연주가 庚午가 되어야 하나, 입춘이 1월 9일 11시 14분에 들어오므로 그 입춘일, 입춘시간 이전은 전년도인 己巳年으로 정해야 합니다.

 

또한 어떤 해에는 음력으로 해가 바뀌지 않은 12월에 입춘이 들기도 하므로 입춘이 지났다면 새해의 연주를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음력 1987년 12월 18일은 87년의 연간지 丁卯, 12월의 월간지 癸丑, 일간지 庚寅으로 구성되어야 하지만, 이미 1987년 12월 17일 23시 43분에 1988년 정월의 입춘절이 시작되었으므로 88년의 주인 戊辰이 되고, 월주는 甲寅이 되며 일주는 똑같이 庚寅이 되는 것입니다.

 

2. 월주(月柱) 정립법

 

월주(月柱)를 정하는 것은 연주를 세우고 난 후 태어난 해의 월간지(月干支)를 구성하는 것으로, 만세력(萬檅歷)을 찾아 기록하면 됩니다. 월지(月支)는 월령(月令)이라고도 하는데, 그만큼 사주 내에서 월주가 작용하는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월주를 세우는 데도 절기를 사용합니다. 1990년 음력 2월 3일이라면 날짜로는 2월에 들어왔지만 경칩(驚蟄)이 2월 10일이므로, 그 이전인 1월의 무인(戊寅) 월주를 씁니다. 또 연간을 통해 월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 월지는 정해지므로 월간을 알 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천간합을 알면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甲己合 - 土이며 土를 生하는 丙火가 1월의 천간으로 丙寅月부터

乙庚合 - 金이며 金을 生하는 戊土가 1월의 천간으로 戊寅月부터

丙辛合 - 水이며 水를 生하는 庚金이 1월의 천간으로 庚寅月부터

丁壬合 - 木이며 木을 生하는 壬水가 1월의 천간으로 壬寅月부터

戊癸合 - 火이며 火를 生하는 甲木이 1월의 천간으로 甲寅月부터

 

이렇게 월간의 시작을 알고 육십갑자를 순행해 대입하면 甲己年일 때 丙寅, 丁卯, 戊辰으로 3월이 戊辰月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月 年干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甲己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丙子

丁丑

乙庚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丙辛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丁壬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戊癸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절입일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월간지조견표(月干支早見表)>

 

 

 

3. 일주(日柱) 정립법

 

출생일을 정하는 법은 누구나 만세력을 보면 간단히 정할 수 있습니다.

출생한 날의 일진(日辰)이 그 사람의 일주(日柱)가 됩니다. 일주도 육십갑자 중의 하나이며, 자신과 배우자의 배속(配屬)으로 일주를 중심으로 사주를 대입해 운명을 추론하는 것입니다.

 

4. 시주(時柱) 정립법

 

시주(時柱)는 태어난 시간으로 정하는데, 두 시간마다 육십갑자가 배속되어 작은 子時.丑時.寅時.卯時.辰時.巳時.午時.未時.申時.酉時.戌時.亥時로 하루가 나며 매일같이 반복됩니다. 고정되어 있는 시지(時支)에 짝이 되는 천간은 출생한 날의 일간에 따라 정해지는데, 그 이치는 천간합에서 탄생되는 오행을 극하는 오행 중 양간이 출생 당일 첫 子時의 시(時)천간이 되는 것입니다.

 

甲己日(合-土)은 甲子시부터....

乙庚日(合-金)은 丙子시부터....

丙辛日(合-水)은 戊子시부터....

丁壬日(合-木)은 庚子시부터....

戊癸日(合-火)은 壬子시부터....

 

                              <시간지조견표(時干支早見表)>

時干日干

子時

丑時

寅時

卯時

辰時

巳時

午時

未時

申時

酉時

戌時

亥時

甲己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乙庚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丙辛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丁壬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戊癸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1) 야자시와 조자시법, 정시법

 

子時의 사용에 대해서는 현재 두 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법으로, 子時는 1일 밤 11시 30분부터 2일 새벽 1시 30분까지로 시(時)는 子時 하나인데 일(日)은 두 날이 차지하게 되어 시간을 다르게 사용하는 예입니다. 즉, 2000년 5월 1일 새벽 0시 30분에 태어난 사람의 일주가 辛卯라면 戊子時가 되지만(조자시), 같은 날인 1일 밤 11시 30분에 태어난 사람은 똑같이 일주는 辛卯日이 되는데 밤 11시 30분부터는 다음날(2일)의 庚子시 시주를 세우게 됩니다(야자시). 이럴 경우 1일 새벽 0시 30분에 태어난 사람은 辛卯일 戊子時를, 1일 밤 11시 30분에 출생한 사람은 辛卯日 庚子時로 사용하는 것을 ‘야자시와 조자시법’이라 합니다.

 

<조자시 사주구성의 예>        <야자시 사주구성의 예>

1일 00시 30분생                    1일 23시 30분생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戊 辛 辛 庚                          庚 辛 辛 庚

子 卯 巳 辰                          子 卯 巳 辰

 

두 번째는 정시법(正時法)으로, 2000년 5월 1일 밤 11시 30분부터 2일 새벽 1시30분까지는 하루가 시작되는 子時로서 하루 중에 子時가 두 번으로 나누어질 수 없다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1일 밤 11시 30분부터는 2일 乙丑일 丙子시로 계산하는 정시법이 바람직하다는 논리입니다.

 

<정시법 사주구성의 예>

1일 00시 30분생                  1일 23시 30분생

時 日 月 年                         時 日 月 年

戊 辛 辛 庚                         庚 壬 辛 庚

子 卯 巳 辰                         子 辰 巳 辰

 

이 두 가지 이론은 현재 학자마다 채택해 사용하는 기준이 다르며, 옳고 그름을 판단할 근거가 난해합니다.

 

2) 절기를 기준으로 한 사주구성의 예

 

새해 1월인데 입춘 절기가 지나지 않아서 전년의 간지와 월건으로 사주가 구성 되는 예

 

(음력 1998년 1월 6일 0시 30분)

時 日 月 年

丙 庚 癸 丁

子 辰 丑 丑

 

아직 음력으로 새해가 되지 않았으나 새해의 연주와 월주로 사주가 구성되는 예

 

(음력 1987년 12월 18일 07시 40분)

時 日 月 年

庚 庚 甲 戊

辰 寅 寅 辰

 

출생월이 바뀌었으나 전월의 월건으로 사주가 구성되는 예

 

(음력 2000년 6월 4일 오전 10시)

時 日 月 年

己 甲 壬 庚

巳 子 午 辰

 

위 사주는 6월이면 未月이 되는 것이나 아직 6월의 절기인 소서가 지나지 않았기에 5월의 월건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출생월이 바뀌지 않았으나 다음달의 월건으로 구성되는 예

 

(음력 2001년 6월 19일 23시출생)

時 日 月 年

癸 癸 丙 辛

亥 卯 申 巳

 

위 사주는 6월 19일로, 7월이 되려면 아직도 10일이 더 지나야 하지만, 2001년은 6월 18일에 입추 절기가 들어왔으므로 7월의 丙申 월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위와 같이 연주와 월주를 세우는 법은 모두 절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참고하여 만세력을 보고 사주의 기둥을 세우면 됩니다.

 

 

 

 한국명리아카데미  바로가기

http://cafe.daum.net/kma2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