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이야기

대운 해석법

운재 2016. 4. 24. 01:16

천간을 보는 법

 

운 천간이 갑이라고 하자. 설명의 편의상 간지를 분리해서 설명한다.

 

먼저 일간과의 십신을 파악한다. 일간이 경이면 편재운이 들어온 것이다.

운의 천간이 동주 지지에 스스로 힘을 받고 들어왔는지를 본다.

 

개두 절각 같은 어려운 용어는 생각하지 말고 통근의 개념으로 판단이 충분히 가능하다.

갑신운이면 갑이 힘없이 들어왔고, 갑인운이면 엄청난 힘을 받으면서 들어왔다.

 

사주의 지지(지장간 포함)에 같은 기운이 있는가를 본다.

천간은 지지에서 실어주지 않으면 힘을 못 쓴다.

 

이러한 힘 내지 통근을 감안하는 것은 이 운에서 들어온 천간이 얼마만큼의 힘을 가지게

되는 가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사주의 지지에 갑과 같은 목의 지장간을 가진 인묘진해미가 있으면 같은 기운이 운에서

들어왔다고 막 손짓을 하며 응원하면서 힘을 실어준다.

 

특히 사주 천간에 목의 기운이 없이 지지에서만 쓸쓸하고 외롭게 있었던 목 기운을

가진 지지(인묘진해미)가 있었다면 눈물겹도록 반가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운의 천간이 사주의 천간에 미치는 변화를 본다. (동기, 합, 생극)

 

사주 천간에 동기가 있으면 세력이 강해진다. 천간에 기가 있으면 합한다.

다른 천간에 대하여 음양 생극작용을 한다.

 

이러한 생극 변화작용의 크기는 운에서 온 갑 기운의 강약과 다른 천간의 기운의 강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사주의 힘센 기운과 충돌하거나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약한 기운을 도우거나 억압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간 입장에서 희기가 갈리게된다.

 

나쁜 기운을 치게 되면 일간이 기뻐하고, 좋은 기운을 억압하거나 합하면 일간이 꺼리게 된다.

 

 

지지를 보는 법

 

운 지지가 자라고 하자. 일간과의 관계를 본다.

일간이 경이라면 상관운이 온 것이다.

 

일간이 을 또는 기일 경우 자는 천을귀인이 된다.

운의 지지가 동주 천간의 힘을 얻고 들어 왔는가를 본다.

 

임자라면 엄청난 힘을, 무자라면 약한 힘을 가지고 왔다.

사주의 천간에 같은 기운이 있는가를 본다.

 

지지는 천간에서 덮어주어야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천간투출은 지지가 얼마나 힘을 발휘할 수 있느냐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사주 천간에 임계가 있으면 같은 편이 하늘에 있구나 하면서 손짓하며

힘을 주고 받는다. (천지감응)

 

특히 사주 지지에서 수의 기운이 전혀 없거나 부족하여 외롭게 지내는 임계 천간이 있었다면

지지에서 오는 자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왜 지금 왔어 하면서 반갑게 맞이 한다.

 

운의 지지가 사주의 지지에 미치는 변화를 본다.

 

사주 지지에 같은 기운 자해가 있으면 세력을 합하여 엄청 강해진다.

지지에 신이나 진이 있으면 끌어당겨 수의 기운을 강화한다.

(상황에 따라 신과 진은 성분이 수로 변할 수도 있다.)

 

지지에 해축이 있으면 방합을 형성하여 수의 세력이 강화된다.

지지에 축이 있으면 육합을 이루어 자기 본분에 소홀하게 된다.

 

지지에 오가 있으면 서로 힘 겨루기를 한다, 충) 오와 힘이 비등하면 긴장감이 감돌기도 하고

서로 화해의 기운이 돈다, (수화기제, 자오쌍포)

 

오가 힘이 없으면 박살을 내버려 불을 꺼 버린다 (왕자충쇠, 拔)

오가 힘이 매우 강하면 잠자는 사자를 건드리는 것과 같아 오가 더 화를 내어 발동한다.

(쇠자충왕 왕신 발 發) 지지에 묘가 있으면 형(刑)이 발생한다.

습목 묘에 자의 차가운 얼음기운은 형의 작용이 발생한다.

 

지지에 미가 있으면 원진, 육해, 사주 년지가 인이라면 자운은 재살운이 되어

사회활동을 자제 해야한다.

 

세운 해석시, 지지 기타 글자들에 대해서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운의 천간이 사주의 천간에 미치는 변화와 같이, 지지의 운이 와서 사주 지지에 미치는

회합형충의 변화작용의 크기는 운에서 온 자 기운의 강약과 다른 지지의 기운의

강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사주의 힘센 기운과 충돌하거나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약한 기운을 도우거나

억압하기도 한다. 여기서 일간 입장에서 희기가 구분된다.

 

나쁜 기운을 치게 되면 일간이 기뻐하고, 좋은 기운을 억압하거나 합하게 되면

일간이 꺼린다. 간지를 동시에 감안해야 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위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간지동, 양인, 백호, 괴강 등의 간지는 강력한 기운이

들어온다고 보면 된다. 사주에 간지동, 양인, 백호, 괴강 등의 간지가 있을 때

이를 형충하는 운은 사주를 크게 움직이게 한다.

 

백호, 괴강 지지의 충, 주로 진술축미 지지의 충은 육친의 사고발생을 의미한다.

사주에 전혀 없는 오행의 글자가 들어오면 어색하다.

 

사주에 있는 글자들은 평생 같이 지낼 운명이므로 싸우거나 밉거나, 친하거나를 막론하고

일단 얼굴은 친하지만, 처음 보는 기운이 오면 서로 어색하게 된다.

서로 적응이 잘 안된다. 여기에 인간사가 발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