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해석
제5강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해석
‘기3 운7이라는 말‘
사주팔자가 30% 운이 70% 정도의 영향력을 갖는다는 뜻입니다. 그정도로 운세가 매우 중요합니다. 사주와 운이 반대로 흘러가면 마치 고급 승용차가 자갈길을 지나가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1. 대운과 세운의 기본 개념
1) 남녀의 구분
남자는 기본적으로 양(陽)에 속하므로 양의 기운을 지날 때 불리하며 여자는 음양적으로 음(陰)에 속하므로 음의 기운을 지날 때 불리합니다.
2) 음(陰)운과 양(陽)운의 구분
삼합의 운동성으로 구분
음(陰)의 운은 금,수 운으로 巳 酉 丑 (金), 申 子 辰 (水)
양(陽)의 운은 목,화 운으로 亥 卯 未 (木), 寅 午 戌 (火)
3) 대운(大運)
대운은 계절을 의미하고 큰 환경의 변화 그리고 주거지의 변동 등을 뜻하며 대운의 변화는 30년을 기준으로 하여 변하므로 일생 동안 적게는 두 번, 많게는 세 번의 변화를 맞습니다.
4) 세운(歲運)
해당 년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건, 사고, 행위, 인물, 등으로 해석합니다.
2. 대운과 세운을 해석하는 방법
사주팔자의 구성을 잘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운과 세운을 해석하는 방법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사주팔자가 어설프면 차라리 대운을 따라서 살아가는 것이 세월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사는 것이 됩니다.
1) 고전적 해석 방법
가. 천간 5년 지지 5년 나누어 보아야 한다는 주장
나. 천간 3년 지지 7년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다. 개두(蓋頭)라는 것은 천간의 기운을 중요하게 보아야 한다는 주장
라. 절각(截脚)이라는 것은 천간의 기운이 좋아도 지지가 반대 기운이면 좋지 못하 다는 뜻이 되며, 대운에서 지지의 영향력을 크게 보는 학설이라고 하겠습니다.
2) 대운과 세운의 관계
가. 전극(戰剋)이란 대운과 세운의 천간이 상극되는 것을 말하며
나. 충(沖)은 대운의 지지와 세운의 지지가 서로 충(沖)이 되는 상황을 흉하게 보기 도 합니다.
다. 화(和)란 대운 천간과 세운의 천간이 합하는 것이고
라. 호(好)대운과 세운의 오행이 서로 같은 것으로 길흉의 작용이 매우 강하게 작용 합니다.
3) 대운(大運) 견해들의 요약 정리
가. 대운이라는 것은 월지에서 이어져 나가는 것으로 계절의 연장이라고 봅니다.
나. 그래서 대운은 지지를 우선하여 해석 하여야 합니다.
다. 지지를 기준으로 계절을 보고 천간은 오직 사주팔자의 천간과 합, 충, 형 관계만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라. 천간과 지지는 서로 아무런 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개두나 절각은 전혀 신경 쓰지 마십시오
마. 대운 천간 5년 지지 5년도 있을 수 없는 발상입니다. 무조건 대운이나 세운 모두 지지를 기준으로 파악을 하고 해석합니다.
바. 대운 천간의 역랑은 약하고 대운 지지의 역량은 강해서 천간이 희신이라 해도 복이 크지 않으며 대운 지지가 희신이면 복이 크다고 봅니다.
사. 대운은 30년을 함께 보아야 하고 천간과 지지를 모두 관찰하고 대운은 사주와 배합하고 나서 길흉을 판단하니 대운의 한 글자는 사주의 간지와 배합하고 나서야 길흉을 알 수 있습니다.
3. 대운이 사주의 간지와 배합하여 발생하는 변화
1) 사주 천간에 의해 대운 천간이 합이 되는 경우
천간 합의 작용은 역할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대운 천간이 길신이거나 흉신으로서 작용하지 못합니다.
2) 사주의 지지를 대운의 지지가 충하여 길흉이 달라지는 경우
가. 흉신에 해당하는 지지를 충 하면 길하고 희신에 해당하는 지지를 충 하면 흉해 집니다.
나. 寅,申,巳,亥 사생지(四生地)는 충을 만나면 申이 寅을 극하고 亥가 巳를 극하지만 子,午,卯,酉 사정기(四正氣)는 사주 전체의 기세에 따라서 성패가 좌우되며 진술축미 사묘고(사묘고)는 큰 변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지장간이 길신일 때 불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 대운에 의해서 성격(成格)과 파격(破格)이 되는 경우
壬 일간이 亥월에 태어나 일간이 강한데 己(土)가 있어서 정관을 용신으로 삼는 건록격인데 대운에서 寅을 만나면 亥寅(合) 木으로 상관격이 된다는 것입니다.
4. 대운지지 육친의 반대편 해석
대부분 상담자의 질문은 대운지지에 의해 극을 받는 육친에 대한 문제로 상담을 많이 합니다.
子,午,卯,酉 대운을 지날 때에는 모두 양보하지 않는 강한 기운이므로 운명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격동기를 맞으며 辰,戌,丑,未의 대운을 지날 때는 입묘 작용과 화개 작용으로 누군가의 희생에 의한 변화 또는 이중생활의 아픔이 올 수 있습니다.
가. 비견운 - 편재를 극(剋)함 - 금전, 여자문제
나. 겁재운 - 정재를 극함 - 금전 지출, 처의 문제
다. 식신운 - 편관을 극함 - 남자: 자녀, 여자: 남자 문제
라. 상관운 - 정관을 극함 - 남자: 직장, 여자: 남편 문제
마. 편재운 - 편인을 극함 - 학문 방해 문제
바. 정재운 - 인수를 극함 - 모친 문제, 학업 문제
사. 편관운 - 비견을 극함 - 형제, 친구 문제
아. 정관운 - 겁재를 극함 - 건강, 지인 문제
자. 편인운 - 식신을 극함 - 남자: 제조 수하, 여자: 자녀 문제
차. 인수운 - 상관을 극함 - 남자: 활동, 여자: 자녀 문제
5. 육친에 의한 대운과 세운의 분석
구분 |
대운 |
세운 |
일진 |
비견 |
분리, 독립 |
재물 정체 |
금전 지출 |
겁재 |
손해, 동업 |
금전 손실 |
실수 |
식신 |
의식주 확장 |
새로운 시작 |
식복 |
상관 |
소모 지출 |
바쁜 활동 |
유흥, 놀이 |
편재 |
금전 유통 |
바쁜 환경 |
번거로움 |
정재 |
재물 안정 |
경제 발전 |
금전 회전 |
편관 |
감투 발전 |
건강 악화 |
실속 없다 |
정관 |
명예상승 |
무사평안 |
소식 통보 |
편인 |
문서 재산 |
활동 둔화 |
일의 지연 |
인수 |
문서 발전 |
보증 주의 |
무사 안정 |
양간(陽干)은 반응이 빠르지만 실속이 없고 음간은 반응이 느리지만 실속이 있다.
6. 세운의 해석
1) 세운은 일년을 관장하며 대운이 길해도 세운이 흉하면 그 해는 소흉을 당하게 됩니다.
2) 대운이 흉하고 세운이 길하면 흉중에 소길하게 됩니다.
3) 대운이 좋은데 세운이 나쁘다면 외부에서 보기에는 전혀 변동사항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상황은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크게 잘못되지는 않고 넘어갈 수가 있습니다.
4) 사람이 흥하고 망하고 죽고 살고는 모두 당해 년 운에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래정법과 운명 개선법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