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 강의 (고급)

제1강 간지론

운재 2016. 1. 19. 12:46

                                                                                                                          제3부 고급편

1강 간지론

 

 

1. 간지론의 배경

 

명리학을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격용론(格用論) 공부를 하셨을 것입니다. 저도 십 수년간 격용론으로 공부를 하였고 팔자를 감명함에 있어 맞지 않는 한계에

부딪힐 때 마다 공부가 모자라서’ ‘기초가 부족해서’ ‘특별한 비법을 몰라서등으로 끝없이 공부하고 연구 해야만 하는 학문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정형화된 사주 즉 입격사주는 격용론으로 쉽게 감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입격되지 않은 일명 파격사주는 격용론으로 감명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간지론이 거론이 되고 있으며 격국 용신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는 것입니다. 격용론으로 사주를 감명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다른 감명법이 필요가 없겠지요, 하지만 수많은 역학인들이 답을 찾지 못하고 헤매는 이유가 한정된 감명법인 격용론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에게 특별한 비법인 간지론이 우리 곁에 있었습니다. 요즘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환경에서는 간지론을 통한 사주 감명법을 배워 사용하여야 올바른 감명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 간지론 공부 방법

 

1) 기초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공부를 해야 합니다.

 

2) 22간지에 대한 이해와 확장

 

3) 22간지에 대한 물상이나 운동성으로 확장을 우선 많은 연습과 궁리 해야합니다.

 

 

3. 간지론

 

1) 10천간 12지지 분화 과정

음양 -> 오행 -> 10천간 -> 12지지

음양을 알고 오행 10천간 12지지를 공부하고 합, , 형을 공부하여 많은 것을 배우고 익혔는데도 감명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모든 것을 따로 분리해서 생각하는 데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따로 나누어 공부를 하지 말고, 음양부터 12지지까지의 과정을 정확하게 연결해서 인지를 해야 합니다.

음양오행은 22간지의 탄생까지의 바탕 이론을 제공하였을 뿐이고 우리는 22간지의 이론을 가지고 사주 감명에 임해야 합니다.

 

2) 격용론을 공부하신 분들은 대부분 음양오행으로 분류하여 직업이나 성격 또는 업종 등을 분류합니다. 간지론은 22간지로 분류하고 천간과 지지의 구분도 정확히 하여야 합니다.

 

3) 음양오행과 육친이라는 것은 상생과 상극의 법칙이 사용되는데, 22간지론은 합(), (), ()이라는 법칙이 적용 됩니다.

 

4) 10천간 12지지 한 글자 한 글자에 대한 이해와 운동성 구분 그리고 물상으로의 확장 연습을 본인이 스스로 직접 연구하고 구분을 해 보아야 합니다.

 

* 10천간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먼저 글자의 형상이나 모양 그리고 의미 또는 천간으로서 특징 시간적인 개념 등을 충분히 이해를 한 다음에 물상이나 형상으로 확장을 하는 것입니다.

 

) ()

. 팔괘로서 의미

()으로 손괘, 동남쪽, 유순하다, 유연하다, 공손하다

()에 속하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을 보고 바람을 볼 수 있다고 하여 을 바람이라고 합니다.

. 글자로서의 의미

자로 공상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봄에 새싹이 꾸물꾸물 자라는 형상이너 날아가는 새를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이다.

. 특징

을 제어할 수 있고 가 있으면 을 두려워 하지 않고, 이 함께 있으면 걱정이 없다.

. 물상

교육, 음악, 서적, 사무용품, , 과일, 채소, 종이 등

 

) ()

. 팔괘로서 의미

()’으로 어긋날 간, 거스러더, 그치다, 어려워하다

태양이 지면 토()가 되니 저녁노을이라고 한다.

. 글자로서 의미

의식용이나 형벌 집행용 도끼 또는 무릅쓰다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모험심이 있고 적극적인 행동가로 의지가 강건하다. 성공에 대한 욕망이너 야망이 많고 성공 확률도 높다. 양기의 극단으로 밀어 붙이는 기운이 매우 강하다.

. 특징

는 견고하고 중용을 지키는데 가 강하면 기로 조절이 필요하고 가 강하면 로서 조절해야 한다. 환절기에 가 강하면 기로 누출시킴을 필요로 한다.

. 물상

토목, 부동산, 농업, 창고, 은행, 증권, 금융 등

 

) 12지지 - ()

. 글자로서 의미

토끼 묘자는 모험을 한다는 뜻으로 만물이 땅위로 솟아나러는 것과 같은 모양이다. 토끼를 식육 가축으로 매우 유용하게 생각하여 열두 띠 중에 하나로 삼았다. 막다, 무릅쓰다, 가늘고 길다 등의 핵심적인 뜻이 있다. 글자 모양이 둘로 갈라진 모양이라서 이별수가 있고 사리 분별이 매우 뚜렷하다고 한다.

. 성격

영리하다,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다, 성급, 논리적, 증오 등

. 물상

, 인쇄, 약초, 채소, 미용실, 인테리어, 장식, 의상실, 패션, 화장품, 대서소, 포목, 디자인, 설계, 화원, 과수원, 농장, 가구점, 꽃집, 공예품, 봉재공장 등

 

 

5) 천간과 지지와의 관계 설정

 

천간은 정신적인 성향이 강하고 지지는 현실적이고 상황적인 경우가 많아서 서로 상반되는 부분을 잘 구별하여야 합니다. 자칫 오행론에 빠져서 22간지를 오행으로 분류하여 사용한다면 섬세한 잣대를 두고서 사용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천간과 지지를 오행으로 보니까 자꾸 갑진(甲辰)년 이라면 ()()를 극한다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천간과 지지는 오행으로 보면 안 됩니다. 천간과 지지는 상생과 상극이 없습니다. 둘의 사이에는 뿌리가 되어 주거나 투간 되는 것 말고는 아무 상관이 없이 따로입니다. 천간과 지지의 관계 설정은 12운성으로 하시면 됩니다.

 

 

4. 간지론 정리

 

간지론, 격용론으로 명리에 대한 설명을 나누어 보면 격용론은 정격 사주 감명에 적합하고, 그 이외의 사주 감명은 간지론으로 감명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랜 기간 공부를 하고도 좌절하는 경우는 열심히 공부한 격용론이 정격 사주가 아닌 사주를 분석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 사주를 감명해 보면 정격으로 입격된 사주는 10명 중에 1~2명으로 그나마 격에 맞추어 잘 살므로 물을 필요도 이유도 없어 우리와 만날 일이 거의 없습니다.

 

정격이 아닌 사주의 주인공 들이 묻고 싶은 것 궁금하고 아리송한 것이 많습니다. 이들의 인생사를 속 시원히 감명할 수 있는 방법이 사주 모양이나 생김새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감명하는 간지론입니다.

 

간지론이 정답입니다. 정답을 알고 길을 떠나는 우리 도반님들은 행운아 입니다. 하여 ‘22간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물상으로의 확장하나 하나 도반님의 품으로 거두어 주시길 바랍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은 성격(性格)‘에 대해 공부 하겠습니다.

 

 

 

http://blog.daum.net/nokb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