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제6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해석
1. 지장간
현재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지장간은 월령용사입니다.
지장간과 월령용사 두가지가 있었는데, 한문으로 된 고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번역을 해서 지금껏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알고 사용을 한 것입니다.
이것을 바로 잡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두가지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여 간지론에서는 분리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지장간만을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장간이란 12지지가 내포하고 있는 천간의 기운을 지장간 또는 인원(人元)이라 합니다.
지장간 표
地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地 藏 干 |
癸 |
癸 辛 己 |
戊 丙 甲 |
乙 |
乙 癸 戊 |
戊 庚 丙 |
己 丁 |
丁 乙 己 |
戊 壬 庚 |
辛 |
辛 丁 戊 |
甲 壬 |
이것이 지장간인데 전에 알던 월령용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지장간은 여기 중기 정기라는 사령기간이 없습니다.
子와 午는 원래 양(陽)인데 음(陰)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지장간 표에서 본 바와 같이 체(體)는 양이지만 용(用)은 음이기 때문입니다.
2. 지장간 응용
지장간을 살펴서 체가 양인지 음인지, 건조한지 습한지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지지에 나타나 있는 육친뿐만 아니라 지장간에 숨어 있는 육친도 반드시 참작하여 보아야 하며 모든 인간사의 보이지 않는 내면의 비밀을 알아보는 데 사용합니다.
모든 지지는 삼합과 육합 방합에 의하여 오행의 성질이 변하는데 그 변화하는 성질을 지장간이 내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해(亥)는 水이지만 지장간에 甲(木)과 壬(水)를 가지고 있어서 卯未를 만나면 삼합하여 목(木)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辰(土)는 乙,癸,戊가 있어서 申子를 만나 申子辰 삼합으로 水국을 이루고, 寅卯를 만나면 寅卯辰 방합으로 木국을 이룹니다.
子, 卯, 酉는 지장간이 하나밖에 없는데 午는 己가 더 있습니다.
이는 화(火)와 토(土)는 같은 길로 가는 하나로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辰,戌,丑,未의 지장간은 음양이 섞여 있으므로 잡기(雜氣)라 부릅니다.
3. 투간과 장간의 차이
천간 지지 지장간의 작용력
천간(天干) |
지지(地支) |
지장간(地藏干) |
주연 |
조연 |
엑스트라 |
시간 |
공간 |
인간 |
심리 |
물리 |
생리 |
도덕 |
신앙 |
교리 |
통치 |
영토 |
국민 |
정신 |
환경 |
기능 |
우주 |
세계 |
인생 |
시기 |
장소 |
노력 |
사건 |
상황 |
결과 |
정자 |
난자 |
태아 |
일상에서 천간은 주인공, 지지는 조연, 지장간은 엑스트라 라고 생각이 됩니다.
지장간에 있는 것도 사주에 있는 것으로 쉽게 보이지는 않지만 때에 따라서 활동하는 것이 지장간입니다.
천간에 있는 글자가 지지에 뿌리를 두었다면 강한 기운을 가졌다고 봅니다. 하지만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두지 않았다면 천간의 사용이 미약하거나 불가능해 집니다. 지지에 있는 글자는 조건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장간에 있는 것은 일단 있다고 보고 어느 시기에 사용이 가능한가를 자세히 살펴야 합니다.
4. 辰, 戌, 丑, 未의 작용
진술축미의 작용은 *12운성의 입묘 작용 *방합의 계절적 작용 *다음 계절을 열어주는 즉 다음 글자를 낳는 작용으로 이해해야 하며, 토(土)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사계절에서 음양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土라는 것을 꼭 기억 하시길 바랍니다.
1)진(辰)-- 壬(水)의 입묘(入墓) 작용
辰(寅卯辰) 방합 봄(木)의 계절적 작용
다음 계절인 여름 巳(火)를 낳는 작용을 합니다.
2)술(戌)-- 丙(火)와 戊(土)의 입묘(入墓) 작용
戌(申酉戌) 방합 가을(金)의 계절적 작용
다음 계절인 겨울 亥(水)를 낳습니다.
3)축(丑)-- 庚(金)의 입묘(入墓) 작용
丑(亥子丑) 방합 겨울(水)의 계절적 작용
다음 계절인 봄 寅(木)을 낳습니다.
4)미(未)-- 甲(木)의 입묘(入墓) 작용
未(巳午未) 방합 여름(火)의 계절적 작용
다음 계절인 가을 申(金)을 낳는 작용을 합니다.
사주에 未가 있는데 운에서 卯라는 글자가 온다면 未(土)는 무엇으로 변할까요? -목(木)의 성질로 변합니다. 왜 갑자기 土가 木으로 변합니까?--未의 지장간에는 (丁乙己)라는 지장간이 있습니다. 未가 卯를 만나면 未의 지장간 중에서 을(乙)이라는 지장간이 작용을 해서 木으로 변한 것입니다.
5. 운세에 따른 토(土)의 작용력 변화
辰,戌,丑,未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삼합(三合)과 방합(方合), 입묘(入墓)작용에 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운세에 따른 진술축미의 작용
구분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辰 |
木 |
木 |
木 |
土 |
土 |
土 |
水 |
- |
- |
- |
水 |
- |
戌 |
火 |
- |
- |
- |
火 |
- |
金 |
金 |
金 |
土 |
土 |
土 |
丑 |
土 |
土 |
土 |
金 |
- |
- |
- |
金 |
- |
水 |
水 |
水 |
未 |
_ |
木 |
- |
火 |
火 |
火 |
土 |
土 |
土 |
木 |
- |
- |
도표에서 한 예로, 辰의 계절에 따른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오행적인 토의 작용은 巳, 午, 未에서만 적용합니다. 사,오,미 시기에 수(水)를 보호하기 위한 土 작용과, 삼합에 의한 수(水)작용, 방합에 의한 목(木) 작용을 상기 도표에서 나누어 보았습니다.
갑을 일간은 土(무,기, 진,술,축,미, 사,오,인,신)을 재성으로 사용 합니다. 戊, 己는 천간에 있으므로 정신적 작용이 강하고, 辰 戌 丑 未는 土로서 작용력보다 삼합 인자를 보호하기 위한 작용으로 土와 유사한 작용을 하며, 午 寅 申 巳는 지장간에 土가 들어 있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오행으로 본 재성 土의 힘의 순서를 정해 보면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午(제왕) > 未(쇠) > 辰(관대) > 巳(록) > 戊 > 己 > 申(병) > 戌 > 寅 > 丑 의 순으로 작용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6. 월령용사 (혹은, 월률분야도)
월령용사는 월지에 한해서 응용되는데 일간의 신강(身强)과 신약(身弱)을 구분짓기 위해서, 절기의 심천을 따져보기 위해서 있는 것입니다.
월률분야도(月律分野圖)
구분 (절기) |
여기 |
중기 |
정기 |
子월 (대설후) |
壬 10일 |
癸 20일 | |
丑월 (소한후) |
癸 9일 |
辛 3일 |
己 18일 |
寅월 (입춘후) |
戊 7일 |
丙 7일 |
甲 16일 |
卯월 (경칩후) |
甲 10일 |
乙 20일 | |
辰월 (청명후) |
乙 9일 |
癸 3일 |
戊 18일 |
巳월 (입하후) |
戊 7일 |
庚 7일 |
丙 16일 |
午월 (망종후) |
丙 10일 |
己 9일 |
丁 11일 |
未월 (소서후) |
丁 9일 |
乙 3일 |
己 18일 |
申월 (입추후) |
戊 7일 |
壬 7일 |
庚 16일 |
酉월 (백로후) |
庚 10일 |
辛 20일 | |
戌월 (한로후) |
辛 9일 |
丁 3일 |
戊 18일 |
亥월 (입동후) |
戊 7일 |
甲 7일 |
壬 16일 |
子월의 지장간(인원용사)에는 계(癸)만 존재하는데 월령용사에는 시간의 차이를 두고 壬이 10일간 癸가 20일간 사령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예로, 대설 절입일시 5일후에 출생한 경우 여기 壬이 사령하므로 子를 壬으로 천간화 하여 분석한다는 이론인데, 이는 더 연구 검토 되어야 하므로 사용에 주의를 要 하며, 우리 간지론을 우선하는 대한역술인협회에서는 지장간(인원용사)으로 감명함을 원칙으로 함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12운성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공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