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제5강 육친의 해석 및 육친 변용법
1. 육친의 상생 상극에 빠지지 마라.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논리를 ‘22간지의 관계‘ 즉, 간지론에서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 하였습니다.
육친의 상생 상극도 22간지의 관계에서는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재성이 관성을 생한다는 육친의 상생 상극 원리와, 10천간 12지지의 관계(합, 충,
형, 파, 격각, 등)에서 사용하는 원칙이 다르므로, 그대로 적용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육친의 상생 상극에서 식상이 재성을 생할 때 다음의 두 명조를 비교해 봅시다.
1) 卯월의 癸巳 일주 2) 寅월의 壬午 일주
1) 0 癸 0 0 (乾) 2) 0 壬 0 0 (乾)
0 巳 卯 0 0 午 寅 0
두 명식 다 식신월에 일지 정재를 만나 식신이 정재를 생하고 있는
명식입니다. 잠시 공부한 것을 잠시 정리해 봅시다.
가. 癸 일간은 음일간, 壬일간은 양일간입니다. 누가 더 사업성이
좋습니까?
(음일간은 세력을 따르고, 양일간은 명분을 따른다.)
나. 두명식 다 식신이 정재를 생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떠한 형태의
삶(그림)이 전개 될까요?
(12지(지지-지지관계)에는 상생 상극이 없습니다.
오직 합 충 형 파 해..만 생각 해야 합니다.)
(육친의 상생 상극은 이해 고개만 끄뜩이고 빨리 잊으세요!)
다. 두 명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2. 육친의 원리 (육친 사이에도 짝이 있다)
인간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추구하는 것이 부와 명예를 추구하면서 살아가는데 재성과 관성은 본인이 직접 주관하기는 어렵고 도구를 이용해서 갖는다는 것입니다.
재성을 사용하기 위하여 식상이 필요하고, 관성을 사용하기 위하여 인성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재성과 관성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상과 인성이 짝을 지어 주어야만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전 복이 있는 사람은 항상 식상이 재성을 돕고 있으며, 관성을 사용하는 사람은 관성을 쓰는 도구인 인성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짝을 이루어야만 재성, 관성을 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합니다.
3. 육친의 물상 확장
육친을 인간관계로만 한정지어 해석하지만 말고, 육친을 물상으로 확장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육친의 물상 확장은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숙달되지 않으면 통변에 많은 지장이 생기므로 개인적으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육친의 물상확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명리학의 최고의 포인트는 ‘물상(物象)으로의 확장(擴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육친 확장의 실예
육친(六親) |
자동차 |
상업 |
일반 |
비견(比肩) |
배기량 |
동일업종 |
친구 |
겁재(劫財) |
경쟁자 |
옆가게 |
라이벌 |
식신(食神) |
가속기 |
일반상품 |
음식 |
상관(傷官) |
터보기능 |
기획상품 |
기호식품 |
편재(偏財) |
무거운 짐 |
전국 장터 |
적금 통장 |
정재(正財) |
배타리 |
점포 |
월급 |
편관(偏官) |
경찰관 |
세무서 |
밥부 고지서 |
정관(正官) |
신호등 |
손님 |
편지, 전화 |
편인(偏印) |
주차장 |
부도 |
휴가 |
인수(印綬) |
브레이크 |
휴일 |
쉬는 날 |
4. 나이에 따른 육친 변용법
1) 초년(1~20세) 육친 적용법
초년의 재성 운은 학문에 장애가 되고 초년의 인성 운은 성장 발육에 장애가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중년(20~40세) 육친 적용법
중년에 재성이나 관성운을 만나는 것이 제일 좋을 것이고, 상업사주 인지 직장인 사주 인가를 구분하여 상업 사주는 식상과 재성을 만나야 길할 것이고 직장인 사주는 관성과 인성을 만나야 길하다고 할 것입니다.
반대로 상업을 하는 사람이 인성을 만나면 식상을 극하여 재물 생산이 힘들고 행동에 제약이 많이 따를 것이며, 직장인이 재성을 만나면 뇌물이나 금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3) 장년(40~60세) 육친 적용법
장년기는 중년기와 비슷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평균 수명이 길어져서 일할 수 있는 나이가 늘어남에 따라서 장년기에도 재성과 관성을 사용하는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청년기에 학업을 계속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성과 관성을 반길 것이고, 장년기에도 빠른 은퇴가 아니면 재성과 관성을 반기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작자 상황에 따라서 사용하는 운이 다를 것이므로, 사주 감명시 단순하게 단식으로 판단하지 말고 항상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여 복식판단으로 감명하여야 할 것입니다.
4) 노년(60~80세) 육친 적용법
어릴 때는 성장하고 공부를 해야 하고 자라서는 장사를 하거나 직장을 다녀서 생활을 영위해야 하며 나이가 들어서는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을 필요로 합니다.
노년기에 재성을 만나면 나이가 많이 들어도 쉴 수가 없고 사회 활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이 또한 힘든 삶이 될 것입니다.
무조건 좋거나 무조건 나쁜 운은 없으며 시기에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항상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 하시길 바랍니다.
5. 대운 세운의 육친 적용법
1) 대운의 육친 적용법
대운의 육친 적용은 먼저 계절을 기준으로 적용 하여야 합니다.
계절 기준으로 생활 환경이나 주거 등에 큰 변화가 생기고, 분에 적응하여 산다는 것은 대운을 따른다는 것입니다.
대운을 육친에 적용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항상 간지론에 입각해서 어느 글자를 사용하느냐에 중점을 두고 감명을 해야 하고 어느 위치에 어느 글자가 어느 육친에 해당하느냐를 따져 보아서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할 것입니다.
2) 세운의 육친 적용법
큰 흐름으로서 발전이나 쇠락은 대운에서 결정이 지어 집니다.
세운은 대운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일들을 가늠 합니다.
다음 시간은 지장간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 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