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강 지장간 (地藏干)
제4강 지장간 (地藏干)
1.지장간의 의미
지장간(地藏干)이란 地支속에 암장(暗藏)되어 있는 천간을 말한다.
地支 땅속에 간직되어 있는 하늘의 기운이라 생각한다.
地支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서는 지장간을 알아야만 가능하고
地支의 변화 또한 지장간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다.
지장간은 <연해자평>을 변역하고 전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月令用事)를 지장간으로 잘못 알고 해석하여 종전까지 사용하였으며 실제로 지장간은 따로 있고 지장간과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를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는 글자 뜻 그대로 사주명조의 월지에만 적용하여 여기 중기 정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으로 알아두기 바란다.
지장간 (地藏干) , 인원용사 (人元用事)
|
寅月 |
卯月 |
辰月 |
巳月 |
午月 |
未月 |
申月 |
酉月 |
戌月 |
亥月 |
子月 |
丑月 |
餘氣 |
戊 |
|
乙 |
戊 |
|
丁 |
戊 |
|
辛 |
|
|
癸 |
中氣 |
丙 |
|
癸 |
庚 |
己 |
乙 |
壬 |
|
丁 |
甲 |
|
辛 |
正氣 |
甲 |
乙 |
戊 |
丙 |
丁 |
己 |
庚 |
辛 |
戊 |
壬 |
癸 |
己 |
節氣 |
立春 |
驚蟄 |
淸明 |
立夏 |
芒種 |
小暑 |
立秋 |
白露 |
寒露 |
立冬 |
大雪 |
小寒 |
中氣 |
雨水 |
春分 |
穀雨 |
小滿 |
夏至 |
大暑 |
處暑 |
秋分 |
霜降 |
小雪 |
冬至 |
大寒 |
12지지 속에 각각 천간의 기운을 내포하고 있는데 그것을 지장간(地藏干) 또는 인원용사(人元用事)라고 부른다.
월률분야도(月律分野圖) , 월령용사(月令用事)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는 일년의 흐름을 하나의 순환고리로 생각해서
각 계절에 따른 12지지를 배치하고, 각 월마다 1개월간의 기후 변화에 따른 천간의 배치를 나타낸 방식이 월률분야도, 월령용사라고 한다.
2. 지장간 분류 및 성정
12地支를 천간으로 변환하면
子-->癸, 丑-->己, 寅-->甲, 卯-->乙, 辰-->戊, 巳-->丙,
午-->丁, 未-->己, 申-->庚, 酉-->辛, 戌-->戊, 亥-->壬
1) 四生地의 성정
四生, 寅申巳亥는 모두 양간만 가지고 있으며 의욕이 강하고 기획이나 시작 등의 창의력이 좋고 역마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寅 (戊丙甲)
木이지만 火로 변할수 있다. 寅午戌-삼합-火局
* 申 (戊壬庚)
金이지만 水로 변할수 있다. 申子辰-삼합-水局
* 巳 (戊庚丙)
火이지만 金으로 변할수 있다. 巳酉丑-삼합-金局
* 亥 ( 甲壬)
水이지만 木으로 변할수 있다. 亥卯未-삼합-木局
2) 四墓地의 성정
辰, 戌은 음간2개 양간1개를 가지고 있고 丑 未는 음간만 3개를 가지고 있어 음양이 섞어 있으므로 잡기의 개념도 있고
진술축미의 기운및 성정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중요하므로 꼭 이해를 해야 한다.
* 辰 (乙癸戊) - 진흙을 을계무는 ~
申子辰-삼합-水局, 寅卯辰-방합-木局
辰의 지장간 乙은 寅卯辰으로 봄에 속하고
겨울의 기운은 水의 墓地 辰에 숨어야 여름 巳월이 열린다.
* 戌 (辛丁戊) - 술은 신정에 무야지
寅午戌-삼합-火局, 申酉戌-방합-金局
戌의 지장간 辛은 申酉戌로 가을에 속하고
여름의 기운은 火의 墓地 戌에 숨어야 겨울 亥월이 열린다.
* 丑 (癸辛己) - 축대에 신발보고 주인장~ 계신기유
巳酉丑-삼합-金局, 亥子丑-방합-水局
丑의 지장간 癸는 亥子丑의 겨울에 속하고
가을의 기운은 金의 墓地 丑에 숨어야 봄 寅월이 열린다.
* 未 (丁乙己) - 엄마의 손맛~ 미는 정을기대 하라
亥卯未-삼합-木局, 巳午未-방합-火局
未의 지장간 丁은 巳午未의 여름에 속하고
봄의 기운은 木의 墓地 未에 숨어야 가을 申 월이 열린다.
3) 四旺地의 성정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핵심역할을 하는 달이되어 각 계절의 중심기운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고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다른 오행의 기운으로 잘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子 午 卯 酉 중에 오(午)만이 중기 ‘己’가 있다. 이것은 火와 土는 같은 길로 가는 하나로 보는 것이다.
3. 지지와 지장간의 체(體)와 용(用)
子와 午는 차서에서 양지(陽地)으로 분류 하였으나, 음지로 쓰게되는 이유는 체(體)는 양이지만 용(用)은 음이기 때문이다. 즉 ‘지지 분류는 陽이지만 사용할때는 陰으로 한다’ 그 이유는 子와 午의 지장간 정기가 癸, 丁으로 음이 자리하고 있으므로 용(用)이 陰이라는 것이다.
4. 辰, 戌, 丑, 未의 작용
土 오행에서 분화된 지지 辰,戌,丑,未를 흙으로 생각하면 안된다. 정리를 하면
(1) 계절적인 작용 - 지장간 여기 ‘乙 辛 癸 丁’의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작용
(2) 입묘 작용 - 壬, 丙 戊, 庚, 甲을 입묘 시키고, 그들의 종자 불씨 (지장간 중기 ‘癸 丁 辛 乙’)를 ‘辰戌丑未’ 라는 창고에 庫藏 몰래 숨기는 작용
(3) 연결 작용 - 辰은 巳를 낳고, 戌은 亥를 낳고, 丑은 寅을 낳고,
未는 申을, 즉 다음 계절을 낳는 작용을 한다.
그리하여 다음 계절로 바뀌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은 돌고 돌아 순환 한다.
진술축미 지장간 암기
진(辰)
진흙 - 흙벽돌을 만드려면 - 짚(乙) + 물(癸) + 황토(戊)가 생각나며,
또한 이것을 잘 을계무(乙癸戊) 는 좋은 황토벽이 되지요.
미(未)
맛 미(味)를 연상하여 요리는 - 불(丁) + 야채(乙) + 유기농(己) 에
엄마의 손맛이 깃든 정을기(丁乙己)대 하여야 참 맛이다.
술(戌)
술(막걸리) - 술단지(辛) + 아랫목(丁) + 익으면(戊) 무야지~~
막걸리 잘 빚어 신정에 무(신정무) 야지... 카아~~
축(丑)
축대 - 축축한 축대에에 놓인 신발 - 축축(癸) + 신발(辛) + 주인장 몸(己)을
연상하며 '어흠' 주인장 계신기(癸辛己) 유~~
5. 투간과 장간
천간 지장간 지지의 작용력
천 간 : 주연, 시간, 심리, 정신, 시기, 사건, 통치, 우주, 정자
지장간 : 조연, 인간, 생리, 기능, 노력, 결과, 국민, 인생, 태아
지 지 : 무대, 공간, 물리, 환경, 장소, 상황, 영토, 세계, 난자
지장간은 12지지가 각각 천간의 기운을 간직하고 있는 내용을 파악는 것이고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내렸는지를 살필 때 사용하며 또한 지장간에 있는 천간들은 합, 충, 형을 통해서 변화가 생기면 움직임을 보이는 존재로서 사주팔자를 감명할 때에 ‘지장간을 잘 해석하는 사람이 고수’라 할 만큼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니 지장간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많이 되어야 하겠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은 제5강 합(合)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한국명리 아카데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