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짧은 글 깊은의미[3]
짧은 글 깊은의미[3]
身主要强(신주요강) 用物財官(용물재관) : 日干은 우선 身强함이 좋고 身强하여야 財官을 用할 수 있다.
身主柔弱(신주유약) 用之印比(용지인비) : 日干이 弱하면 인성과 비겁을 用神으로 삼아야 한다.
先印後財(선인후재) 初困後榮(초곤후영) : 行運이 先으로 印星運으로 흐르고
後에 財星運으로 흐르면 초년은 困하더라도 後에는 榮하다.
先財後印(선재후인) 初榮老敗(초영노패) : 行運이 先으로 財運으로 흐르고
後에 印星運으로 흐르면 초년에 榮하더라도 老年에는 敗한다.
調候不及(조후불급) 無實無後(무실무후) : 사주상 調候가 不及되면 無實, 無後하다.
男犯四敗(남범사패) 屈曲波瀾(굴곡파란) : 男命이 四敗(酒色)에 휘말리면 굴곡파란한 삶이 된다.
女犯四敗(여범사패) 淫亂孤獨(음란고독) : 女命이 四敗(酒色)에 휘말리면 음란고독하다. [1]
五氣相生(오기상생) 其性溫和(기성온화) : 사주상 오행의 기운이 상생되면 그 사주 성품이 온화하다.
混亂偏枯(혼란편고) 性情乘逆(성정승역) : 사주상 혼란 편고가 되면 그 사주의 性情이 역류되어 막힘이 많다.
五行和者 一世無災 =오행이 화목하면 일생동안 병이없고 血氣亂者 平生 多病=혈기가 난잡 하면 일평생 병 주머니라 [2]
貧富之源(빈부지원) 食財輕重(식재경중) : 빈부의 근원은 사주상 食傷과 財星의 輕重에 의한다.
官名高低(관명고저) 官印輕重(관인고저) : 官職으로 나아가 관직의 높고 낮은 官印의 경중에 의한다.
官重無印(관중무인) 慾高無成(욕고무성) : 사주상 官은 重한데 印星이 없으면 높은 관직에 대한 욕심은 많으나 출세는 안된다
印重太過(인중태과) 貧寒寒儒(빈한한유) : 사주상 印星이 太過하면 貧寒하게 사는 가난한 선비이다.
財多身弱(재다신약) 富屋貧人(부옥빈인) : 재다신약 사주는 부옥빈인 즉 부자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이다.
傷官無財(상관무재) 雖巧必貧(수교필빈) : 사주상 상관이 있으나 財가 없으면 비록 재주는 뛰어나나 필히 가난하다.
傷官無財(상관무재) 後嗣終無(후사종무) : 男命에 상관이 旺하고 通關神인 財星이 없으면 후사를 이을 자식이 없다.
傷官執刀(상관집도) 將相公候(장상공후) : 상관에 양인(칼)을 차고 있으면 장군 재상과 같은 높은 벼슬을 한다.
殺印相生(살인상생) 生殺威權(생살위권) : 살인상생 사주는 生殺을 다루는 權威職에 종사한다.
倒食重重(도식중중) 落胎頻繁(낙태빈번) : 女命에 도식(偏印)이 重重하면 낙태를 자주한다